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다이어트가 잘 되고 있다는 증거 4가지는?

화장실에 자주 가고, 땀이 많이 난다면 긍정 신호

열심히 다이어트에 나서고 있는데, 체중계 숫자는 꿈쩍할 생각도 없다. 노력에 비해 보상이 적은 것 같아 의욕이 꺾이기 마련이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면 너무 좌절할 필요는 없다. 당신의 다이어트는 순조롭게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365mc 천호점 조민영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체중감량이 순항 중이라는 증거 4가지를 알아봤다.
 
◆화장실에 자주 가고, 땀이 많이 난다
 
다이어트 시작 전과 비교했을 때 화장실도 자주 가고, 운동할 때에는 땀이 많이 난다면 체중감량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는 신호다.
 
갑자기 소변과 땀이 늘어나는 것은 그동안 정체되고 축적되던 노폐물이 원활한 신진대사로 배출되고 있다는 의미다.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으로 만든 활동량 증가, 충분한 수분섭취는 궁극적으로 대사를 활발하게 만들어준다.
 
특히 중요한 요소가 바로 제대로 된 ‘수분섭취’다. 조민영 대표원장은 “물은 신체의 거의 모든 기능에 관여하는 만큼 신진대사도 빠르게 작용하도록 만든다”며 “체내 독소나 염분배출이 원활해지는 것은 물론 지방 연소에도 관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을 태우는 과정에는 수분이 많이 쓰이는 만큼, 다이어트 중이라면 하루에 1.5ℓ 정도는 마셔주는 게 좋다”며 “단, 한컵을 벌컥벌컥 마시기보다 미온수를 틈틈이 마시는 방향을 추천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다이어트 중 대변이 딱딱해지거나, 변비가 심해진다면 물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이럴 경우 식이섬유와 함께 수분섭취량을 늘려주는 게 도움이 된다.
 
◆입던 바지가 갑자기 커졌다
 
다이어트 중 몸무게는 그대로라 걱정인데, 정작 타인으로부터 ‘살이 빠진 것 같다’는 피드백을 받는 경우도 있다. 또, 평소 불편하게 느껴지던 옷이 넉넉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는 체중감량 중 ‘정체기’ 단계에서 한번쯤 겪을 수 있는 이야기다. 조 대표원장은 “몸무게가 빠지지 않아도 몸을 구성하는 체성분이 달라지며 외형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며 “이럴 경우 체중보다는 체성분 분석을 받아보면 긍정적인 결과에 다이어트 동기부여가 강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이같은 변화는 체지방이 줄고 근육량이 늘어났을 때 겪기 쉽다. 같은 무게라도 지방은 근육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이다.
 
조 대표원장은 “평소 체중·체성분 분석뿐 아니라 속칭 ‘눈바디’로 불리는 외형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도 몸매관리에 도움이 된다”며 “열심히 다이어트에 나서고 있지만 체중변화가 없어 힘들 때 실질적으로 달라진 몸을 확인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고 했다.
 
◆음식 맛이 자극적으로 느껴진다.
 
열심히 다이어트를 하다가 치팅데이에 먹고 싶은 음식을 먹었는데, 평소 좋아하던 음식의 맛이 자극적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 만약 그렇다면 ‘건강한 습관’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서울대병원·KAIST, 국내 소두증 유전자 스펙트럼 규명 신경발달장애 소아 환자는 또래보다 머리 크기가 작은 ‘소두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 발생 원인은 명확치 않았다. 국내 연구진이 소두증과 연관된 유전적 스펙트럼을 규명하고, 원인불명이던 환자의 56.7%에서 유전적 원인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뇌 발달 경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신경발달장애 환자를 위한 정밀 진단의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KAIST 생명과학과 윤기준 교수(장현수 연구원)·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 공동연구팀이 소두증을 동반한 신경발달 장애 환자 418명과 가족 632명의 전장 엑솜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소두증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치보다 2표준편차 이상 머리 둘레가 작은 경우로, 뇌 성장과 발달의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머리 크기가 작은 일차성 소두증과 자라나면서 머리 성장이 멈추는 이차성 소두증으로 구분되며, 약 1,300개의 유전자가 이 질환의 발생에 연관되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소두증의 결정적인 유전적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신경발달장애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고, 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