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4.2℃
  • 박무서울 11.8℃
  • 흐림대전 12.6℃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7.0℃
  • 구름많음광주 13.8℃
  • 구름많음부산 16.8℃
  • 구름많음고창 11.9℃
  • 구름조금제주 14.5℃
  • 맑음강화 11.6℃
  • 흐림보은 12.4℃
  • 흐림금산 13.8℃
  • 맑음강진군 15.1℃
  • 맑음경주시 15.2℃
  • 맑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강남베드로병원 이철우 원장, 세계적 척추내시경 교과서 공동저자 참여

이원장,"척추에 대한 내시경 치료법 공부하는 의학도들에게 도움 기대"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이철우 원장은 최근 의학 출판사 중 가장 권위가 높다고 알려진 Spring사에서 출간한 척추내시경 교과서 [Advanced Techniques of Endoscopic Lumbar Spine Surgery (내시경 척추 수술의 고급기술)]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Advanced Techniques of Endoscopic Lumbar Spine Surgery (내시경 척추 수술의 고급기술)]은 대한민국 척추 수술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신경외과 전문의들이 함께 저술한 책으로 척추 수술에 사용되는 최신 내시경 수술 방법에 대해 가이드를 해주고 있다. 더불어 병변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에 더해 후방, 척추측면 및 반대쪽을 포함한 다양한 접근법이 개발돼 협착증, 디스크를 포함해 척추 질환의 모든 적응증에 대응이 가능한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특히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이철우 원장이 저자로 참여한 부분은 두 챕터로 (1) 척추의 중심성 협착증에 대한 내시경 추방접근 방법 (2)추간공 협착증에 대한 내시경 척추 측방 접근 방법이다. 척추 협착증을 각기 다른 2가지의 접근법에 따라 치료하는 술기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이 두 챕터에서는 내시경 기구의 기술 개발과 진화에 따라 퇴행성 척추 질환에 대한 효과적이고 최소침습적인 수술 치료법인 내시경 척추수술(ESS)를 소개한다.


ESS, 내시경 척추 치료방법은 기존 절개수술법(메스를 사용해 피부 근육 조직 등을 절개, 근육, 뼈, 신경을 건드리는 수술)에 비해 정상 조직을 보존하고 입원일수가 적고 일상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의학 출판사 중 가장 권위가 높은 Springer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척추내시경 교과서에 공동저자로 참여한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이철우 원장은 “척추내시경 치료 교과서 공동집필을 참여한 것은 신경외과 전문의로서 큰 영광이다. 척추에 대한 내시경 치료법을 공부하는 많은 의학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강남베드로병원은 허리 및 척추 수술에 대해 등이 아닌 배로 접근하는 인공디스크치환술을 4천례 이상 달성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용인세브란스병원 "저체온 치료로 생존율 높인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주로 심정지, 뇌졸중 등에 적용하는 저체온 치료는 환자의 체온을 32~36도까지 빠르게 낮춰 일정 기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회복에 따라 점차 정상체온을 되돌리는 치료법이다. 그간 저체온 치료의 효과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심근경색에 의한 심정지가 발생한 중증 환자군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18만여 건의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사례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의식불명 상태 2,92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체온 치료를 받은 집단은 저체온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보다 사망률이 매우 낮았으며(치료군 35.1%, 비치료군 43.3%),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보정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