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6.0℃
  • 맑음강릉 25.2℃
  • 박무서울 16.2℃
  • 맑음대전 23.9℃
  • 맑음대구 24.8℃
  • 맑음울산 24.8℃
  • 맑음광주 24.1℃
  • 맑음부산 20.7℃
  • 맑음고창 22.3℃
  • 맑음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5.5℃
  • 구름조금보은 22.4℃
  • 맑음금산 24.7℃
  • 맑음강진군 21.1℃
  • 맑음경주시 27.1℃
  • 맑음거제 20.5℃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ㆍ건강식품ㆍ화장품

종합비타민 무기질 보충제,DNA 손상 줄여

이대 식품영양학과 권오란 교수,‘식물영양소 함유 종합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항산화 기능성’임상연구 결과 발표

뉴트리라이트는 서울플라자호텔에서 ‘뉴트리라이트 창립 80주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더블엑스(Double X)’의 항산화 기능성을 입증한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간담회에서는 1934년 북미 최초의 종합비타민 무기질을 탄생시킨 이래 80년간 이어온 식물영양소에 대한 연구 및 제품 개발을 위한 집념, 뉴트리라이트만의 원료 재배 및 농법 등의 역사를 영상을 통해 소개했다. 특히 창시자 칼 렌보그의 이념을 계승해 뉴트리라이트 건강연구소 설립, 전세계 차원에서의 산학협력 체계 구축, 공격적인 R&D 투자확대 등 사이언스 리더십을 핵심 가치로 여기는 브랜드 정체성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또한 세계 각지에 보유한 자사 농장 및 제조시스템은 최적의 식물영양소를 통한 제품 생산에 기반에 둔 뉴트리라이트의 원칙을 뚜렷이 보여주기도 했다.

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권오란 교수가 주도한 ‘식물영양소 함유 종합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항산화 기능성’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연구는 25~69세의 한국 성인 89명을 대상으로 식물영양소를 함유한 종합비타민 무기질(더블엑스) 섭취군과 대조 물질 섭취군을 구성, 하루 12정의 종합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8주간 섭취하도록 해 제품의 항산화 기능성을 밝히고자 했다. 총 4가지의 바이오마커(항산화 물질 지표, DNA 손상 지표, 지질 손상 지표, 내적 항산화 방어 시스템 지표)에 대한 측정을 통해, 더블엑스의 권장수준 섭취는 DNA 손상 및 LDL 콜레스테롤의 산화적 손상 감소에 도움이 되고, 내적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항상성 또한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권오란 교수는 “과도한 활성산소는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지만, 자체 항산화 방어체계 가동을 위한 일종의 신호 인자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번 연구는 식물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종합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권장수준(Nutritional Dose)섭취가 산화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DNA 손상 및 LDL 콜레스테롤의 손상 감소에 도움을 주며, 자체 항산화 방어체계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 유의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가설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신장 기능 저하 완전히 막지 못했던 '당뇨병콩팥병' ...투석 지연 등 새 치료법 열리나 국내 연구팀이 당뇨병콩팥병(당뇨병신질환)에서 신장 염증을 일으키는 핵심 원인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CXCL12가 손상된 사구체와 신세뇨관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분비되며, 이 물질이 T 면역세포를 신장으로 유인해 염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특히, CXCL12 발현에 따른 T 세포 신장 침투가 당뇨병콩팥병에서 신장 기능을 저하하는 핵심 기전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팀(박평강 아주의대 교수, 황주현 서울의대 학생)과 서울의대 의과학과 김현제 교수팀(김용준 서울의대 학생)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환자 인체유래물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신장 염증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당뇨병콩팥병은 가장 흔한 신장 질환으로, 투석 환자의 절반가량이 당뇨병콩팥병에 기인하는 만큼 유병률과 사회적 부담이 크다. 당뇨병 환자 수의 증가에 따라 당뇨병콩팥병 환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예후는 다른 신장 질환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나쁘다. 이 질환은 고혈당과 동반 질환에 의해 사구체와 신세뇨관에 손상을 유발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다. 신장 기능의 저하를 막기 위한 약물로는 당뇨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