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구름조금동두천 15.5℃
  • 구름많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3℃
  • 구름조금대전 17.0℃
  • 맑음대구 19.7℃
  • 구름조금울산 20.6℃
  • 구름많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2℃
  • 구름조금고창 14.5℃
  • 구름많음제주 17.1℃
  • 구름조금강화 15.5℃
  • 구름많음보은 15.1℃
  • 구름많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6.3℃
  • 구름조금경주시 21.8℃
  • 맑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20대 이상 여성 2명 중 1명 방광 질환 경험에도 ∙ 비뇨기과 방문 꺼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여성의 방광 질환 치료 실태’ 조사 결과 발표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회장 김준철, 가톨릭대학 부천 성모병원 비뇨기과)가 ‘제8회 골드리본캠페인’의 일환으로 여성의 방광 질환 치료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비뇨기과 김현우 교수팀이 13개 대학병원 내 건강 검진 센터를 방문한 20대 이상 여성 5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여성들의 대부분이 방광 질환을 경험했으나 특별한 대처 없이 증상이 호전되기를 기다리는 등 적극적인 치료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절반 이상, 방광 질환 증상 경험하지만, 42%가 증상 방치
이번 조사 결과 여성 환자의 55%가 하나 이상의 방광 질환의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경험한 증상으로는 잦은 소변으로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빈뇨 증상과 소변이 마려워 2회 이상 잠에서 깨는 야간뇨 증상이 각각 22%로 가장 많았으며, 소변을 본 후에도 잔뇨감이 남아 있다는 응답이 18%로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을 보인 환자 중 42%가 특별한 대처 없이 증상이 호전되기를 기다린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을 방문하지 않은 이유로는 자신의 증상이 병원 방문이 필요한 질환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워(42%) 많은 환자들이 방광 질환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1개월 미만, 1회 방문 치료에 그쳐 증상 재발률 높아
증상이 나타난 후 병원을 방문하기까지 기간을 물었을 때 1개월 이상 증상을 방치한 후에야 병원에 방문했다고 응답한 환자는 37%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 방문이 1회에 그친 환자는 46%, 치료 기간이 1개월 미만인 환자는 72%에 달해, 병원 치료가 일회성에 그치거나 자의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병원 치료를 중단한 이유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56%) 질환이 완치되어서라고 응답했지만, 실제로 치료 후 2명 중 1명은 증상이 재발했다고 응답해, 증상이 일시적으로 개선된 것일 뿐 추가 치료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 교수는 “학회 자료에 따르면 요실금 환자 중 야간뇨와 과민성방광을 모두 가진 환자가 51%로 나타나는 등 방광 질환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또 다른 방광 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면서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증상이 나타난 후 3개월 이내에 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증상이 재발하지 않았다고 답한 환자가 41%인데 반해, 3개월 이상 경과한 후 병원을 찾은 환자의 경우 재발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가 10%에 그쳐 치료 효과의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초기에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높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회장 김준철 교수(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비뇨기과)는 “인구의 고령화와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방광 질환을 겪는 여성 환자가 늘고 있지만, 질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비뇨기과 방문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높아 치료를 받는 환자의 비율은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며, “적극적인 초기 치료를 통해 삶의 질 저하의 원인인 방광 질환을 건강하게 관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용인세브란스병원 "저체온 치료로 생존율 높인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주로 심정지, 뇌졸중 등에 적용하는 저체온 치료는 환자의 체온을 32~36도까지 빠르게 낮춰 일정 기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회복에 따라 점차 정상체온을 되돌리는 치료법이다. 그간 저체온 치료의 효과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심근경색에 의한 심정지가 발생한 중증 환자군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18만여 건의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사례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의식불명 상태 2,92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체온 치료를 받은 집단은 저체온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보다 사망률이 매우 낮았으며(치료군 35.1%, 비치료군 43.3%),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보정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