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해열·진통제 부작용 보고 급증..안전 조치는 느긋?

문정림 의원, “식약처는 국민 불안감 해소 위한 의약품 부작용 사례의 신속한 인과관계 확인 및 안전조치 나사야"주문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이 최근 5년간(2010년 ~ 2014년 6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보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503,115건의 의약품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 중 지역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표4]의 보고건수(309,281건, 61.47%)가 가장 많았고, 제약업소(171,756건, 34.13%), 병․의원(15,779건, 3.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1].

 

<보고 기관별 의약품 부작용 보고 현황>

(단위 : , %)

보고원

’10

’11

’12

’13

’146

비율

제약업소

22,803

18,449

21,011

81,198

28,295

171,756

34.13

지역센터

37,818

54,569

68,131

90,255

58,508

309,281

61.47

의원

3,233

1,475

2,020

8,066

985

15,779

3.14

약국

120

125

543

2,145

23

2,956

0.59

보건소

1

-

-

95

2

98

0.02

소비자

(환자 등)

22

36

140

744

846

1,788

0.36

기타

(소비자단체 등)

146

3

530

757

21

1,457

0.29

총 계

64,143

74,657

92,375

183,260

88,680

503,115

100

*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출 자료를 문정림 의원실에서 재구성

부작용 사례를 최근 5년간 의약품 유형별 보고건수(다빈도 상위 10개)로 분석한 결과, ‘항악성종양제, 해열·진통·소염제, x선조영제,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합성마약’ 등이 매년 상위 5위 내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중 ‘항악성종양제’의 경우 2013년 이후 가장 많은 부작용 보고가 있었으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부작용 보고가 가장 많았던 ‘X선조영제’는, 2013년 이후에는 세 번째로 내려갔으나, 이는 ‘항악성종양제’와 ‘해열·진통·소염제’의 부작용 보고건수가 급증한 탓이며, ‘X선조영제’의 부작용 보고건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표2].

<최근 5년간 의약품 부작용(유형별) 보고 : 다빈도(상위 10)>

순위

2010

2011

2012

2013

20146

유형별

보고 건수

유형별

보고 건수

유형별

보고 건수

유형별

보고 건수

유형별

보고 건수

1

X선조영제

6,924

X선조영제

9,690

X선조영제

11,716

항악성종양제

23,628

항악성종양제

17,162

2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5,169

해열.진통.소염제

7,637

해열.진통.소염제

9,734

해열.진통.소염제

16,650

해열,진통,소염제

11,748

3

해열.진통.소염제

4,950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459

합성마약

8,562

X선조영제

13,970

x선조영제

7,312

4

항악성종양제

4,175

항악성종양제

5,668

항악성종양제

8,557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11,491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621

5

합성마약

2,887

합성마약

5,126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8,071

합성마약

9,851

합성마약

6,045

6

기타의 화학요법제

2,824

기타의 화학요법제

2,211

정신신경용제

3,293

최토제, 진토제

8,909

기타의 화학요법제

2,916

7

정신신경용제

1,833

정신신경용제

2,189

기타의 화학요법제

3,005

백신류

7,059

소화성궤양용제

2,727

8

혈압강하제

1,455

주로 그람양성균에 작용하는 것

1,898

아편알카로이드계 제제

2,221

기타의 화학요법제

5,178

정신신경용제

2,248

9

항전간제

1,342

피임제

1,753

피임제

1,549

혈압강하제

4,562

아편알칼로이드계제제

2,024

10

항결핵제

1,257

진해거담제

1,512

항결핵제

1,502

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4,006

진해거담제

1,997

 또한 최근 5년간 부작용 증상 보고건수(다빈도상위 10개)로 살펴본 결과, 매년 ‘오심’ 증상에 의한 부작용 보고가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가려움증, 구토, 어지러움, 두드러기, 발진”의 순이었다[표3].

<최근 5년간 의약품 부작용(분류명) 보고 : 다빈도(상위 10)>

순위’10’11’12’13’146
분류명보고 건수분류명보고 건수분류명보고 건수분류명보고 건수분류명보고 건수
1오심7,758오심11,477오심16,341오심26,417오심13,508
2두드러기6,391두드러기8,021가려움증9,130구토15,236가려움증8,127
3발진6,276가려움증7,680구토8,999가려움증15,113구토7,189
4가려움증5,767발진7,308두드러기8,710두드러기12,991어지러움7,128
5구토4,360구토6,596발진7,860어지러움12,838두드러기7,051
6어지러움3,552어지러움5,479어지러움7,002발진11,766발진5,934
7설사1,966설사2,372설사2,895설사6,541과립백혈구감소증3,890
8두통1,616두통2,036소화불량2,844과립백혈구감소증6,086설사3,342
9복통1,5241,898두통2,536두통6,045두통3,080
101,479호흡곤란1,666과립백혈구감소증1,978소화불량5,054소화불량2,750

 

문정림 의원은 “식약처는 의약품 부작용 유형, 증상 보고된 사례 중 다빈도 사례를 유형화 하여 우선적으로 부작용 보고와 해당 의약품과의 인과관계 여부 등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번

센터명

지정일자

’10

’11

’12

’13

’14

1

서울대학교병원

2006.5.17.

2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

2006.5.17.

3

아주대학교병원

2006.5.17.

4

단국대학교병원

2007.6.11.

5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2007.6.11.

6

전남대학교병원

2007.6.11.

7

삼성서울병원

2008.3.13.

×

8

동국대학교일산병원

2008.3.13.

9

한림대학교성심병원

2008.3.13.

10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2009.6.24.

11

충북대학교병원

2009.6.24.

12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2009.6.24.

13

경북대학교병원

2009.6.24.

14

계명대학교동산병원

2009.6.24.

15

부산대학교병원

2009.6.24.

×

16

서울아산병원

2009.6.24.

17

중앙대학교병원

2011.1.10.

-

18

한양대학교병원

2011.1.10.

-

19

인하대학교병원

2011.1.10.

-

20

조선대학교병원

2011.1.10.

-

×

21

대한약사회

2013.2.1

-

-

-

22

국립중앙의료원

2013.2.1

-

-

-

23

동아대학교병원

2013.2.1

-

-

-

24

전북대학교병원

2013.2.1

-

-

-

25

고려대학교구로병원

2014.2.1

-

-

-

-

26

경상대학교병원

2014.2.1

-

-

-

-

27

제주대학교병원

2014.2.1

-

-

-

-

총 계

15개소

20개소

20개소

22개소

27개소

아울러 문정림 의원은 “의약품 안전정보 관리의 기반이 되는 ‘의약품 부작용 보고’의 61.47%가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자발적 부작용 보고 활성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부작용 보고를 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