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임상영양사가 선정한 최고 vs 최악의 연예인 식단은?

유명 연예인의 다이어트 식단은 늘 화제다. 특히 여배우들의 식단은 ‘저것만 먹고 살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일반인의 식단과 확연히 다르다. 방송과 SNS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진 연예인 식단 중 최고/최악의 식단은 누구의 어떤 식단일까.

365mc 지방흡입센터에서 지방흡입 전후 영양상담과 지방흡입 후관리를 돕는 임상영양사가 여자연예인 10명의 식단을 분석해 최고/최악의 연예인 식단을 선정했다. 또한 건강하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식단까지 소개한다.

 

최고의 식단: 배우 강소라

아침 - 플레인요거트 1개 + 사과 1개

점심 - 백반(밥은 현미밥 1/2공기, 채소위주의 반찬) + 단호박죽 1인분(1/2그릇)

저녁 - 고구마 1개 + 양상추 + 식빵 1장

 

영화 ‘써니’에서도 통통했던 그녀. 고등학교 때 70kg대의 몸무게로 ‘체대생’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 철저하게 식단을 지키며 운동한 결과 20kg이상 감량에 성공, 현재는 S라인을 뽐내며 체중조절식품 광고모델로도 활약 중이다. 그녀의 식단에는 하루 중 필요한 최소한의 탄수화물(100g)이 아침, 점심, 저녁에 포함되어 있고, 채소 섭취량도 충분하다. 다만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하다. 단백질은 피부 탄력 보완, 체단백 유지에 도움을 주며 탄수화물 섭취를 줄여도 포만감을 느끼게 해줘 끼니마다 1가지 정도의 단백질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백질 섭취양만 좀 더 보완하면, 일반인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다이어트 식단으로 손색이 없다.

​개선식단

아침 - 사과 1개 + 요거트 1개 + 삶은 달걀 1개

점심 - 백반(밥은 현미밥 1/2공기, 채소위주의 반찬) + 두부 1모(또는 살코기나 닭고기 1접시)

저녁 - 고구마 1개 + 닭가슴살(또는 두부) 1접시 + 채소(또는 토마토)

 

최악의 식단 : 인기배우 P양

아침 - 오이 1개 + 저지방 우유 한 잔

점심 - 현미밥 1/2공기 + 배추 조금

저녁 - 오이 1개 + 배추 조금

 

새로운 드라마를 찍을 때마다 슬림한 몸매로 나타나는 배우 P양. 특히 단기간에 매우 날씬해진 덕에 20대 여성들 사이에서 그녀의 식단이 큰 화제였는데, 공개되자마자 ‘토끼의 식단이냐’는 우스갯소리까지 등장할 정도로 이슈가 되었다. 일일 섭취 총 칼로리가 307kcal 밖에 되지 않는 초저열량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과연 이것만 먹고 살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다. 성인 여성의 경우 일일 최소 탄수화물 100g, 단백질 50~55g을 섭취해야 하는데, 현미밥 1/2공기(탄수화물 37.3g), 저지방 우유 1잔(단백질 7.2g)으로 하루 필요 섭취량을 채우기엔 역부족이다. 대신, 배추, 오이 등을 통해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위주로 섭취를 하고 있는데, 이는 일시적으로 포만감을 느낄지 모르나, 장기적 관점으로 보면 영양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루에 권장되는 탄수화물, 단백질의 양을 충분히 섭취하는 식단으로 수정해야 한다.

 

개선식단

아침 - 오이 1개 + 우유 1잔 + 고구마 1개 + 삶은 달걀 1개

점심 - 현미밥 1/2공기 + 배추 조금 + 두부(또는 살코기나 닭고기) 1접시

저녁 - 오이 1개 + 배추 + 닭가슴살 100g(또는 살코기 100~150g, 두부 1/2모, 삶은 달걀 2개) + 흰자 2개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