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일산백병원, 제1회 장기이식 심포지엄 개최

일산백병원(원장 서진수)은 지난 7월 7일 (금) 병원 지하 1층 강당에서 '장기이식 심포지엄'을 처음으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신장이식 및 뇌사자 장기 기증의 이해'를 주제로 1부 신장 이식의 이해, 2부 뇌사자 장기 기증의 이해 등 2부로 나누어 진행했으며, 이성순 부원장 비롯해 약 17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했다.

 


전흥만 교수(장기이식센터장, 외과)의 사회로 이성순 부원장의 축사와 한상엽 교수(신장내과)의 ▲일산백병원 장기이식현황 으로 행사는 시작했다. 1부에서는 ▲투석 환자의 이해 및 신장 이식 대상자 선정-생체, 뇌사자(신장내과 한금현 교수) ▲신장 이식에서 수술 전 검사의 이해(신장내과 오세원 교수) ▲생체 및 사체 이식의 수술 전 준비 과정(장혜연 장기이식 코디네이터) ▲수술 및 수술 중, 후 관리(외과 전흥만 교수) ▲신장 이식 시 마취 관리(마취통증의학과 최원주 교수), 2부는 ▲Optimal use of marginal kidney donor(신장내과 한상엽 교수) ▲뇌사자 장기이식의 이해 및 면담의 실제(한국장기조직기증원) ▲뇌사장 발굴 및 관리의 실제(고려대 외과 이재명 교수) 등 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펼쳐졌다.

 


전흥만 장기이식센터장은 "이식 환자를 접하는 분들의 전반적인 교육을 위해 이번 심포지엄을 준비했다" 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이식이라는 것에 함께 공부하고 이식 및 장기기증의 순풍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일산백병원은 2001년 생체 신장 이식 수술을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총 175건의 장기 이식을 시행했으며, 뇌사 관리 및 뇌사자 신장 이식 수술에서 국내 10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