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은 직원들의 청렴도와 업무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국립중앙의료원 종합청렴도는 매년 1계단씩 하락하고 있고, 내부청렴도는 29개 의료원 중 2년 연속 꼴찌를 기록한 곳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매년 실시하는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측정’의 대상기관으로,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 및 ‘직원(내부고객 및 부서간) 만족도 관리지침’에 따라 ‘내부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국립중앙의료원 종합청렴도 측정 결과(총 29개 기관 중)>
연도  | 종합청렴도  | 내부청렴도  | 외부청렴도  | 정책고객평가  | 
2014  | 3등급 24위(7.81점)  | 4등급 26위(7.23점)  | 2등급 7위(8.76점)  | 3등급 20위(7.45점)  | 
2015  | 3등급 25위(7.55점)  | 4등급 29위(6.10점)  | 3등급 20위(8.90점)  | 3등급 22위(7.94점)  | 
2016  | 4등급 26위(7.26점)  | 5등급 29위(5.91점)  | 3등급 16위(9.03점)  | 4등급 27위(6.68점)  |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도 내부청렴도 측정결과 중 물품수수 직간접 경험(1.06점), 진료비의 허위·부당청구 경험(1.40점), 연고주의에 의한 인사관리(4.14점) 등이 타 의료원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내부청렴도 중 전체 의료원 평균과의 비교(10점 만점)>
지표  | 내부청렴도  | 외부청렴도  | 점수차  | 
물품수수 직간접 경험  | 1.06점  | 7.84점  | 6.78  | 
진료비의 허위·부당청구 경험  | 1.40점  | 7.78점  | 6.38  | 
연고주의에 의한 인사관리  | 4.14점  | 6.25점  | 2.11  | 
또한 국립중앙의료원 자체조사인 ‘내부고객만족도 조사’에서도 대부분의 지표가 하락하고 있고, 특히 인사관리에 관한 만족도는 2014년에 비하여 5.6점 하락하였다.
<국립중앙의료원 내부만족도 조사 결과>
연도  | 총점  | 업무태도  | 직무  | 인사관리  | 근무환경  | 
2014  | 56.2  | 63.4  | 61.5  | 43.4  | 54.2  | 
2015  | 55.7  | 65.7  | 61.2  | 40.6  | 53.6  | 
2016  | 53.3  | 61.7  | 60.1  | 37.8  | 50.5  | 
하지만 국립중앙의료원의 청렴도 측정 및 내부고객만족도 조사는 감사팀장을 제외한 감사팀 팀원 1인이 감사팀의 모든 업무와 병행하면서 담당하고 있다. 내부고객만족도는 QI팀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QI팀 담당자 역시 다른 주 업무와 병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도자 의원은 “국립중앙의료원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그 대책은 투명한 인사관리와 부패근절을 위한 혁신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