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8 (목)

  • 흐림동두천 0.1℃
  • 구름많음강릉 4.3℃
  • 박무서울 1.5℃
  • 대전 6.7℃
  • 구름많음대구 6.9℃
  • 맑음울산 7.5℃
  • 구름조금광주 7.0℃
  • 구름조금부산 7.9℃
  • 흐림고창 6.8℃
  • 구름조금제주 8.0℃
  • 구름조금강화 0.9℃
  • 구름많음보은 4.1℃
  • 흐림금산 7.3℃
  • 흐림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8.0℃
  • 구름많음거제 8.1℃
기상청 제공

“ESBL 생성 장내세균-녹농균, 새로운 치료 대안 논의 필요”

복잡성 요로감염 및 복강 내 감염의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세프톨로잔+타조박탐’ 제시

한국MSD(대표이사 아비 벤쇼산)는 9월 15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ISAAR&ICIC 2017  (제11회 항생제와 항생제 내성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및 제3회 감염관련 종합 학술대회)에서 “적절한 초기 항생제 치료: 녹농균과 ESBL 생성 장내세균으로 인한 내성균 감염의 도전에 직면하여(Early Appropriate Antibiotic Therapy: Facing the Challenge of Resistant Infections Due to Pseudomonas aeruginosa and ESBL  Producing Enterobacteriaceae)”를 주제로 한 학술 심포지엄을 성료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송재훈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좌장으로, 미국, 태국, 필리핀 3개국의 감염 전문가들이 연자로 참석한 가운데 다제내성 녹농균과 ESBL 생성 장내세균으로 인한 의학적인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한 견해를 나누었다.


다제내성 녹농균과 ESBL 생성 장내세균, 보건 및 사회경제적 손실 야기
첫 연자로 나선 태국 마히돌대학교 시리랏병원 비사누 탐리킷쿨 교수는 ESBL 생성 장내세균 및 다제내성 녹농균의 중요성과 파급력에 대하여 이야기했다. ESBL 생성 장내세균과 녹농균은 복강내 감염, 요로감염, 병원내 폐렴, 혈류감염의 원인이다.


 2010년~2013년 아시아 지역에서 분리된 복강내 감염 및 요로감염의 원인인 그람음성균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복강내 감염에서 많이 분리된 그람음성균은 대장균(46.1%), 폐렴막대균(19.3%), 녹농균(9.8%)이었다. 이 중 ESBL 생성균은 대장균의38.2%, 폐렴막대균의 24.3%였다.   요로감염에서 많이 분리된 균주는 대장균(60%), 폐렴막대균(14%), 녹농균(7.5%) 이었다. 


탐리킷쿨 교수는 “세팔로스포린, 플루오로퀴놀론 등 광범위한 항생제 처방을 제한하는 것이 ESBL 생성 다제내성균의 감소에 중요하다.  이 내성균들은 보건 및 사회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 연구 결과, ESBL생성 대장균 감염은 ESBL 비생성 대장균 감염보다 사망률이 더 높았으며, 입원 기간이 7일 더 길고, 치료에 5,026유로(한화 약 680만 원)가 더 드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카바페넴에 내성이 있는 녹농균 감염은 카바페넴에 감수성을 보이는 녹농균 감염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adjusted OR: 3.07, 95% CI, 1.60–5.89). 


복잡성 복강내 감염, 광범위 항생제 권장돼
이어서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앤드류 쇼 교수는 복잡성 복강내감염의 관리에 대한 전략적인 치료 옵션을 제시했다. 복강내 감염은 전세계적으로 전체 감염 질환 중 19.6%를 차지한다 . 미국 외과감염학회의 새로운 복강내감염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의료관련 및 고위험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감염에서는 경험적인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이 권장된다.


복잡성 복강내 감염에 대한 새로운 광범위 항생제 옵션으로 다제내성녹농균과 ESBL 생성균을 포함한 그람음성균을 커버하는 저박사(성분명:세프톨로잔+타조박탐)가 제시되었다. 저박사는 복잡성 복강내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에서 메트로니다졸 병용 시 메로페넴 대비 비열등한 임상적 완치율을 입증했다.


1차 종료점에서 저박사의 임상적 완치율은 83.0%, 메로페넴군의 임상적 완치율은 87.3%였다(weighted difference, −4.2%; 95% CI, −8.91 to 0.54). 


쇼 교수는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이 증가하며 ‘최후의 항생제’라 불리는 카바페넴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카바페넴 내성 균주의 증가로 이어지는데 , 카바페넴과 동등성을 입증한 치료제를 사용함으로써 카바페넴 내성균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복잡성 요로감염, ESBL 장내세균과 녹농균에 동시 효과 보이는 새로운 치료 옵션 필요
마지막 연자인 필리핀 산 라자로 병원의 론트진 M. 솔란테 교수는 복잡성 요로감염의 새 치료 패러다임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유럽비뇨기과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중증의 급성 신우신염의 일차 치료에는 퀴놀론계가, 대체약제로는 세프트리악손, 세포탁심, 세프타지딤 등의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치료제 등이 권고되어왔다. 


 솔란테 교수는 “최근에는 저박사와 같이 다제내성 녹농균과 ESBL 생성 장내세균에 모두 활성을 나타내는  치료제가 복잡성 요로감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제시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저박사의 복잡성 요로감염에 대한 3상 연구 에 따르면 저박사는 비교군인 레보플록사신 대비 복합적 완치 및 미생물학적 박멸에 있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저박사 76.9%, n=306/398 vs. 레보플록사신68.4%, n=275/402, Difference 95%CI 2•3–14•6). 


mMITT 군에서 미생물학적 치료율은 ESBL 생성 대장균에 대해 저박사군 70.4% vs. 대조군52%였으며, ESBL 생성 폐렴막대균에 대해 저박사군 70% vs. 대조군 28.6%, 녹농균에 대해 저박사군 85.7% vs. 대조군 50%로 저박사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날 좌장을 맡은 송재훈 교수는 “최근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등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으로 인한 내성이 심화되고 있다. 저박사와 같은 광범위 항생제가 요로감염과 복강내감염에서 새로운 항생제로써 내성 감염 치료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한국건강관리협회,"인구감소, 고령화 문제에 모두 관심 가져야" 한국건강관리협회(회장 김인원, 이하 건협)가 지난 25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주관하는‘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했다. 이 캠페인은‘아이는 행복하고, 청년은 희망을 키우며, 노인은 보람있는 대한민국이 되도록 함께하자’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인구문제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공공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릴레이 캠페인이다. 건협에서는 김인원 회장과 이은희 사무총장이 함께했다. 김인원 회장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건협 본부 및 중앙검사본부, 그리고 17개 시·도지부 임직원은 인구문제의 심각성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건협은 어린이집안전공제회에 이어 이번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다음 주자로 국가생명윤리정책원과 굿네이버스가 캠페인을 이어갈 예정이다.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이한 건협은 재활용 가능한 물품을 나눔하는 제로웨이스트 자원순환 캠페인, 수질개선을 위한 노랑꽃창포 식재 및 EM훍공던지기 캠페인, 개인의 건강증진 뿐 아니라 CO₂발생량 감소에 기여하는 워커스 워크온(Worker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순천향대 부천병원, 전이‧재발성 위암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효과 정확하게 예측" 새 바이오마커 찾아 순천향대 부천병원 위암클리닉 최윤영‧윤진아 교수 연구팀이 최근 전이‧재발성 위암 1차 치료 시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로 유전자 ‘데코린’의 역할을 밝혀냈다.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면역관문억제제가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약 20%의 환자만 효과를 보이는 한계가 있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발현하는 PD-L1 단백질과 면역세포의 PD-1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PD-L1 단백질 양성인 환자 중에서도 치료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있어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최윤영‧윤진아 교수 연구팀(순천향대 부천병원 조인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학연구소 김기태 교수)은 순천향대 부천병원에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이‧재발성 위암의 1차 치료로 PD-L1 억제제인 ‘니볼루맙’ 치료를 받은 환자 12명의 종양에 대해 전엑솜‧전전사체 분석을 시행했다. 추가 검증을 위해 면역관문억제제 치료를 2‧3차 치료로 받은 62명 환자의 종양에 대해서도 전전사체 분석을 시행했다. 또, 다중오믹스 분석을 위해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