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한국화이자제약, 중추신경계 심포지엄 개최

우울장애, 공황장애 등 다양한 분야의 공유의 장 마련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이동수, www.pfizer.co.kr)은 화이자 중추신경계 포트폴리오인 졸로푸트(성분명:염산 설트랄린) 100 mg과 자낙스(성분명:알프라졸람) XR의 임상 연구 데이터를 소개하고 다양한 중추신경계 장애에 대한 최신 치료법을 공유하는 ‘CNS Good NEWs 심포지엄’을 지난 4월 30일부터 양일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첫날 진행된 세션에서는 주요 우울장애(MDD)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과 치료 실패에 따른 약리학적 전략, 그리고 올 4월 21일 출시된 졸로푸트 100 mg과 불안장애에서 폭넓게 쓰이고 있는 자낙스의 새로운 제형인 자낙스XR 의 우수한 효과, 안전성 및 적응증 등을 소개했다.

둘째날 진행된 세션에서는 항정신병 치료제 젤독스(성분명: 지프라시돈)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첫날 충남대 의대 김정란 교수와 순천향 의대 한상우 교수에 의해 진행된 주요 우울장애 세션에서는 주요우울장애 관리에 대한 최적의 초기 치료 및 주요 우울 장애의 높은 치료 실패율에 따른 약리학적 전략의 변화에 대해 다루어졌다.

특히 한상우 교수는 우울장애로 고통 받는 환자들이 충분한 치료와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제시하며 ‘2011년 개정된 근거중심 한국형 우울증 약물학적 치료 지침서’와 ‘APA , NICE , CANMAT ’ 등 국제 가이드라인을 통해 항우울제의 계열 간 적절한 약물 치료 가이드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더불어 SNRI 계열의 항우울제인 이팩사XR에 대해 우울증상이 심각한 환자에 대한 치료효과가 높으며 일차 요법에 불충분한 치료효과를 보인 환자에서 적절한 교체요법으로 효과적인 약물임을 소개하였다.

또한 주요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의 1차 치료 옵션으로서 효과, 약물 상호작용, 환자 순응도 등에서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진 약제로 졸로푸트가 소개됐다. 

경북대 의대 원승희 교수는 발표자료를 통해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시행된 117건의 무작위 통제 임상(randomized controlled trials)을 검토하여 Lancet에 발표된 메타분석 자료에 의하면 주요우울장애 치료에 흔히 처방되는 12가지 항우울제 중에 졸로푸트가 효과(efficacy), 약물 수용성(acceptability)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전북대 의대 양종철 교수는 공황장애의 약물치료에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은 약효가 빠르고 효과적이나 높은 약물의존성으로 인해 장기복용 후 치료 중단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자낙스 XR은 환자의 복용 편의성이 개선된 약제로서 공황장애에 대해 우수한 효과와 내약성을 보인다”라고 소개했다. 

둘째날 강연에서는 젤독스의 최신 치료 지침과 조현병(구 정신분열병) 환자의 식욕, 에너지 소비 및 대사에 대한 지프라시돈(Ziprasidone)의 영향, 그리고 제1형 양극성 장애 유지 치료에서 지프라시돈 보조요법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울산대 의대 홍진표 교수는 대사증후군을 보이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지프라시돈과 올란자핀을 비교한 임상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이 우려되는 환자에서 지프라시돈 투여가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어서 인제대 의대 김원 교수는 제 1형 양극성 장애 유지 치료에서 기분조절제에 대한 젤독스 보조 요법은 리튬 또는 발프로산 단독 요법에 비해 기분삽화(mood episode)의 재발 위험을 감소 시켰다고 소개했다.5

한국화이자제약 이스태블리쉬트 프로덕츠 사업부 김미연 전무는 “이번 CNS Good NEWs 심포지엄은 한층 강화된 화이자의 중추신경계 파이프라인을 소개함과 동시에 중추신경계 장애에 대한 최신 치료법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되었다”며 “향후 중추신경계 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유한 약제를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화이자제약은 항우울제 졸로푸트(Zoloft), 이팩사 XR(Efexor XR), 항정신병치료제 젤독스(Zeldox), 항불안제 자낙스(Xanax) 등 다양한 중추신경계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 출시한 졸로푸트 100 mg에 이어 특히 올 하반기에는 공황장애 치료제로 적응증을 획득한 자낙스 XR을 새롭게 출시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