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장시간 TV시청.. 신체 활동 저하로 경추 질환 목 디스크 위험

A 씨는 직장에서 컴퓨터 앞에 장시간 앉아 있다가, 귀가 후 휴식할 땐 줄곧 TV 시청을 한다. 코로나 전보다 외출과 모임이 줄었기에 더욱 TV 시청으로 여가시간을 보내는 A 씨는 피곤함으로 웅크려 잠이 든다. 그러던 어느 날 목덜미 쪽에서 누가 당기는 것 같은 통증이 발생하며, 팔과 손이 저려서 병원을 찾아갔다. 진단 결과, 목 디스크의 초기 증상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장시간 모니터와 TV를 보면 목이 앞쪽으로 빠지는 자세가 되기 쉬워서 정상적인 C자 곡선이 일자로 변형될 수 있다. 목의 정렬이 일자로 변형되면 머리의 무게를 분산하지 못하여 목 주변의 근육과 힘줄에 과도한 긴장을 유발하고, 이는 목 통증의 원인이 된다.

정상적인 경추는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옆에서 봤을 때 앞쪽으로 휘어져 있는 전만곡 모양이다. 거북목증후군(경추 후만증)의 경추는 전만곡이 아닌 뒤로 휘어져 있는 후만곡 모양으로 이런 경우에는 만성 목 통증 및 승모근의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며, 장기간 지속되면 경추 디스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초기 증상으로는 목 뒤쪽의 뻐근한 느낌이 흔하다. 심해지면 신경이 디스크에 의해 눌리게 되어 승모근 부위로부터 상완, 전완부까지 통증을 느끼는 범위가 점차 확대된다. 이와 같은 목 디스크는 두통과 방사통은 물론이고, 심해지면 운동이나 감각 마비 증상까지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조기에 관절척추전문병원이나 정형외과를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은 후 알맞은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경추 디스크 질환은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막연한 생각에,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행을 주저하는 환자들이 있다. 하지만 추간판이 심하게 탈출되어 경추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보존적(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대부분 호전이 가능하므로, 우선 정밀 검사와 신체검진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목 건강을 지키기 위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TV나 모니터를 볼 때는 화면을 눈높이에 맞추는 것이 좋다. 화면을 볼 때 너무 위나 아래쪽을 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눈높이에서 5~15도 범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고개를 앞으로 15도 숙일 때마다 5㎏ 정도의 하중이 목 디스크에 추가적으로 가해진다. 즉, 60도 숙이면 25㎏의 부담이 목 디스크에 가해지는 셈이다. 너무 오래 같은 자세로 한곳을 응시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30분~1시간마다 가볍게 목을 앞뒤로 젖히는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이때, 스트레칭을 위해 목의 운동 범위를 한계까지 잡아 늘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책을 읽을 때는 책 받침대를 사용하여 눈높이에 책이 위치하게 해야 목에 부담이 덜 된다. 잠을 잘 때는 가능한 낮고 말랑말랑한 베개를 사용하거나 베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호성 정형외과 전문의는 “경추 후만증(거북목증후군)은 정확한 검진과 발생된 원인을 제대로 파악한 후 치료를 해야 증상을 개선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근골격계 질환은 한번 발병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고, 여러 종류의 척주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 매체가 발전하며 현대인들의 목을 괴롭히고 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며,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고, 하루 30분 이상의 가벼운 운동을 하며 경추 후만증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미사이언스, 백혈병어린이재단에 헌혈증 300매·히크만 주머니 100개 기부 “항암 치료를 받는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히크만 주머니’가 구하기 어렵고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이야기에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낯선 병원에서 투병 중인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성껏 만들었고, 이 주머니가 따뜻한 위로와 희망이 됐으면 합니다.” (한미사이언스 서비스플랫폼그룹 한민혜) 한미그룹은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 중심으로 ‘전문경영인 체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ESG 경영이 그룹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한미그룹은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공감을 기반으로 한 ESG 실천을 조직 내에 깊이 내재화하며 지속 가능한 기업 문화를 구축하는데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한미그룹 사내에서는 ‘소아암 환아를 위한 히크만 주머니 만들기’ 봉사활동이 MZ세대 직원들 사이에서 폭넓은 공감과 높은 호응을 얻으며, 우리 사회의 따뜻한 온기를 높이는데 힘을 보태고 있다. 히크만 주머니는 항암 치료를 받는 소아암 환아에게 삽입되는 중심정맥관(히크만 카테터)을 보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수 보조용품이다. 하지만 시중에는 판매처가 많지 않은데다 위생 관리를 위해 자주 교체해야 하는 만큼, 환아 1인당 여러 개의 주머니가 필요하다. 이번 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용인세브란스병원 손등 혈관 통한 고난도 최소 절개 시술법 안전성 입증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서도 손등 부위 혈관을 이용한 ‘스너프박스 접근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손목을 통해 이뤄지던 기존의 심장혈관 시술과 달리 손등 부위의 원위 요골 혈관을 이용한 시술로, 시술 후 혈관 폐색 위험이 낮고 지혈이 쉬워 출혈 등 시술 부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등 혈관은 직경이 작아 복잡한 시술에 필요한 굵은 기구 적용이 어려워 고난도 시술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주로 활용하던 6프렌치 도관보다 직경은 더 크지만, 벽 구조는 얇은 7프렌치 도관을 활용한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의 안전성을 분석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노지웅‧이오현 교수(공동 제1저자), 김용철‧조덕규 교수(공동 교신저자) 연구팀은 2021년 8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심장혈관시술을 받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너프박스 접근법을 통한 심장혈관 시술은 시술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 위험이 큰 복잡 병변 환자를 포함한 참여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