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근당, 제약업계 탈모 연관 정보량 1위

종근당이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11개 제약사 포스팅 가운데 탈모 연관어 수가 가장 많아 치료제 연구개발에 가장 높은 관심을 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대웅제약과 JW중외제약 순으로 나타났다.

14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주요 제약사에 대해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탈모 연구 관련 온라인 정보량(포스팅 수=관심도)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종근당[185750] △대웅제약[069620] △JW중외제약[001060] △보령[003850] △동국제약[086450] △유한양행[000100] △한미약품[128940] △휴온스[2403700] △동아제약[000640] △GC녹십자[006280] △광동제약[009290]순이다.

조사 방법은 '제약사명 + 탈모' 두 키워드간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수 있다.

종근당이 올해 1분기 조사 키워드 관련 188건의 포스팅 수를 기록하며 11개 제약사 중 1위를 차지했다.

종근당은 최근 환자들의 복약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독자적인 매출을 확보하고 있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 기술을 활용한 탈모 치료제 개발에 착수해 3개월에 한 번 맞으면 되는 'CKD843'의 임상을 실시하고 약물 투여 진행 결과를 분석하는 등 본격적인 장기 지속형 주사제 시장에 뛰어들었다.

지난 3월 네이버 카페 '진* 탈* 정* 채*'의 한 회원은 "탈모약 장기 지속형 주사제 어떨까요"라는 제목으로 "종근당, 비만·탈모 치료 장기 지속형 주사제 개발 속도"라는 내용의 언론 뉴스를 공유했다.

이 작성자는 "3개월에 한번만 맞으면 되는 탈모약이라...주변의 시선에 민감한 탈모인들은 탈모약 꺼내 먹는 것도 솔직히 눈치보고 책상에 올려두는 것도 꺼려하는데 솔깃한 느낌이긴 하네요"라며 제약 정보와 자신의 의견을 포스팅했고 이를 본 다른 회원은 "언제쯤 상용화가 될지도 궁금하네요"라고 댓글을 달며 관심을 드러냈다.

대웅제약이 분석 기간 184건의 2정보량을 나타내며 2위에 올랐다.

JW중외제약이 탈모 관심도 129건을 기록하며 3위에 랭크됐다.

이어 보령이 12건의 관련 포스팅 수로 4위를 기록했으며, 동국제약이 95건으로 뒤를 이었다.

분석 기간 유한양행이 60건의 관련 온라인 정보량을 나타내며 6위를 차지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1분기 38건으로 7위를 기록했으며 휴온스가 16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동아제약이 10건의 관련 포스팅 수로 9위를 차지했으며, GC녹십자가 3건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 1월부터 석달간 광동제약의 탈모 관련 게시물 수는 1건이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대한탈모학회가 국내 탈모 인구를 1000만명 수준으로 추산하고 국내 탈모치료제 시장이 매년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제약업계 탈모 신약 개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심사평가원, 제14회 대한민국 지식대상 대통령상 수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9월 11일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제14회 대한민국 지식대상」에서 지식경영 부문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지식대상’은 지식행정·지식경영을 통해 변화하는 기술과 정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처한 행정·공공기관 및 기업의 우수사례를 발굴·시상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상이다. 이번 지식대상에서는 ▲지식활동 창출 성과 ▲지식활동 체계 ▲지속적 성과 창출 및 공유 노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으며, 서류심사를 비롯해 1차 전문가 심사와 2차 온라인 국민 심사 등 엄정한 절차를 거쳐 총 20개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심사평가원은 비대면 진료 시 DUR 시스템을 통해 마약류 의약품의 처방을 차단하여 오남용을 예방하는 안전 지킴이 역할을 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KPIS내에서 수급불안 의약품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품목별 맞춤형 대응을 추진하여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이외에도 ▲일반 국민뿐 아니라 위기임산부, 응급환자 등을 위한 개인 투약이력 맞춤형 정보 제공 ▲공급중단·부족 및 수급불안 의약품 정보 제공 ▲위고비, 삭센다 등 비만치료 관련 무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