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간질, ‘뇌전증’으로 바꿨더니...‘부정적 감정’ 표현 감소 등 긍정적인 변화 일어

아주대병원 최준영 교수팀, 명칭 변경 10년 이후 어떤 변화 있는지 조사

지난 2011년 우리나라에서 질환명 ‘간질’이 ‘뇌전증’으로 변경됐다.

바뀐 이유는 ‘간질’이란 단어가 마치 사회적 낙인이 찍히듯 부정적인 인식을 줬기 때문이다.

2008년 대한뇌전증학회는 ‘간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없애고, 좀 더 과학적·중립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명칭을 ‘뇌전증’으로 변경했다. 이후 2010년 대한의사협회로부터 정식 명칭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2011년 국회를 거쳐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아주대병원 신경과 최준영 교수팀(고승연 교수, 아주대 수학과 권순선 교수)은 명칭 변경 이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01~2022년까지 20여 년간 뇌전증을 다룬 신문기사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 2001~2003년 간질만 사용 ‘간질의 시대’ △ 2011~2014년 간질에서 뇌전증으로 바뀌는 ‘변환의 시대’ △ 2017~2018년 COVID-19 팬데믹 이전 △ 2020~2022년 뇌전증만 사용 ‘뇌전증의 시대’ 등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뇌전증’ 명칭을 사용한 기사의 비율이 2011~2014년 60%였고, 최근 2020~2022년에는 80%까지 늘어나, 시간이 지날수록 ‘뇌전증’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었다.

특히 신문기사들이 좀 더 환자 중심적이고, 환자들의 삶을 다루는 등 호의적인 분위기로 바뀐 것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간질의 시대 신문기사들이 ‘장애’ ‘제한’ 혹은 ‘영혼’ ‘악마’ ‘유령’ 등과 같은 부정적·비과학적 단어들을 사용한 반면, 최근 뇌전증의 시대에는 ‘해마’ ‘신경세포’ ‘전기신호’ ‘연결’ 등의 과학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응급실’ ‘넥타이’ ‘벨트’ ‘기도확보’ 등과 같은 응급처치 연관어 혹은 ‘Epidiolex(대마 성분 의약품’ ‘Cenobamate(항경련제)’ 등 신약 관련 용어를 함께 작성한 것이 눈에 띈다.

또 감정 분석의 경우, 간질의 시대 ‘간질’ 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80%에 달했으나, 뇌전증의 시대에는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최준영 교수는 “뇌전증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경험하는 고혈압이나 당뇨 등과 같은 다양한 기저질환처럼 평소 잘 관리하면 문제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며 “명칭 변경 이후 ‘뇌전증’에 대한 관점, 감정의 변화 등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하지만 아직 뇌전증 환자의 이혼율, 실업률이 수 배나 높다. 뇌전증이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보다 많은 분들이 막연한 부정적인 편견을 갖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Epilepsy & Behavior에 ‘Shifting perspectives: From ’Epilepsy‘ to ’Cerebroelectric disorder‘(관점의 변화: ’간질‘에서 ’뇌전증‘으로)’란 제목으로 오는 8월 게재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구바이오제약, 비뇨기 질환 치료제 시장 선두주자로 나서나...‘쎄닐톤에이캡슐’ 발매 눈앞 동구바이오제약은 9월 1일 양성 전립선비대증과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치료제 ‘쎄닐톤에이캡슐’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호밀·큰조아재비·옥수수 화분 추출물 성분을 함유한 이번 제품은 항염증, 항증식, 평활근 조절 작용을 갖추고 있으며, 주성분은 기존 ‘쎄닐톤정’ 개발사인 스웨덴 Cernelle사가 생산한 원료와 동일한 제형을 적용했다. ‘쎄닐톤에이캡슐’은 동구바이오제약에서 단독으로 판매된다. ‘쎄닐톤에이캡슐’은 대학병원을 포함한 전국 모든 병∙의원에서 처방 가능하며, 대한비뇨의학회, 대한전립선학회, 대한남성과학회,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등 다양한 학회를 통해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양성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배뇨장애 개선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유일하게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증 적응증을 보유한 치료제로 하부요로증상 치료제 시장 확대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2024년 기준 국내 전립선비대증 환자 수는 약 158만 명으로, 2020년 대비 약 21% 증가했다. 유병률은 40대 이후 남성의 30~40%에 이르며, 대표적인 치료제로는 알파차단제(탐스로신 등)와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두타리드 등)가 있다. ‘쎄닐톤에이캡슐’은 특히 탐스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당뇨병 환자, 하지 통증 줄이는 척추 주사인 ‘신경차단술' 가능 하다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영준·이준우 교수 연구팀은 다리 통증을 호소하는 당뇨병 환자도 비당뇨인과 마찬가지로 척추주사 시술을 통해 통증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단, 통증이 만성적이거나 강도가 낮으면 치료 효과가 떨어져 전문의의 면밀한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기능에 이상이 생기며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으로, 심근경색, 뇌졸중, 녹내장, 신부전, 신경손상 등 전신 장기에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이 유발하는 합병증들은 그 자체도 위협적이지만,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 혼동을 유발한다는 점도 문제다. 하지(다리) 통증이 대표적이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과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 모두 다리 통증을 유발하며, 이들 중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가려내기 어렵다. 당뇨병이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하는 등 두 질환 간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하면 진단은 더욱 복잡해진다. 이에 따라 당뇨병 환자는 척추질환에 의한 다리 통증에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척추주사’ 시술을 받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로도 알려진 이 시술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