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8.9℃
  • 맑음서울 12.8℃
  • 구름많음대전 12.4℃
  • 구름조금대구 12.9℃
  • 맑음울산 17.2℃
  • 구름많음광주 15.3℃
  • 맑음부산 19.6℃
  • 구름많음고창 16.4℃
  • 구름조금제주 20.8℃
  • 맑음강화 13.5℃
  • 구름조금보은 9.8℃
  • 구름많음금산 11.2℃
  • 구름많음강진군 15.6℃
  • 구름조금경주시 15.1℃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장마철 빗길 운전, 머리 지지대와 의자 체크 필수

사고 후유증 최소화 위해선 초기 한방치료 중요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침구과 이승훈 교수

지긋지긋한 장마가 연일 계속되고, 설레는 휴가시즌이 다가오고 있다. 2018년 도로교통공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22,952명 중 약 9%가 빗길 운전으로 인해 발생했다.


이 중 32.2%는 여름철인 6~8월에 집중되어 있어 안전운행이 필수다.


‘편타성 손상’으로 이어지는 후방충돌
척추나 관절까지 영향 줄 수 있어
미끄러운 도면에서 급제동을 하면 평상시보다 긴 제동거리가 필요하다. 이는 후방충돌의 위험성을 높인다. 예기치 못한 후방충돌은 충격의 강도가 경미하더라도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 몸은 눈으로 변화를 감지하면 반사적으로 근육이 수축하여 몸을 보호하지만 예기치 못한 충격에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후방충돌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몸은 앞으로 충격을 받은 후, 머리가 심하게 뒤로 젖혀져, 목의 정상적인 C자 굴곡이 S자 굴곡으로 변한다. 이러한 모양이 채찍질과 비슷하여 ‘채찍질 손상’ 혹은 편타성 손상‘이라 불린다.


침구과 이승훈 교수는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동작에서 목에 손상이 커지는데, 이는 목 앞쪽의 근육과 인대를 손상시키고 디스크의 균열을 만든다”며 “특히, 내부의 목뼈 작은 근육이나 인대들이 다치기 쉽고, 척추나 관절 주위를 감싸고 있는 힘줄과 인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불쾌한 통증으로 이어지며 오랜 시간 동안의 재활이 필요하다.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머리 지지대와 앉는 자세가 중요하다. 머리 지지대는 외부충격으로 목이 과신전되는 상태를 줄여준다. 또한, 의자를 너무 직각으로 세우거나 과도하게 허리를 꼿꼿하게 편 자세는 충돌 손상에 취약하다. 이 교수는 “휴가철 장거리 운전은 물론, 빗길 간에는 머리 지지대와 의자를 적절한 각도로 맞춰야 하며, 틈틈이 목과 어깨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후유증 최소화 위해 적절한 초기치료가 관건
교통사고 후 주관적 장애를 호소하거나 골절 외상 등 치료 후에도 통증이나 움직임에 제한을 느끼는 것을 ‘교통사고 후유증’이라고 한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사고 직후 통증은 약 2달까지 빠른 호전을 보이다가 3개월을 기점으로 회복속도가 더디거나 후유증으로 남을 확률이 높다. 다시 말해, 후유증을 최소하기 위해서는 방치하지 말고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교통사고 후유증 최소화를 위해 어혈 개선치료를 강조한다. 한약이나 약침요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전기침, 부항요법, 한방물리요법 등을 통해 뭉친 근육을 풀고 삐끗한 인대 주위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다양한 증상 해결을 위해 한약을 복용하고 만성통증과 기능장애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한방요법들을 지속한다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승훈 교수는 “교통사고 발생 시, 후유증이 생기지 않게 초기 적절한 한방치료가 필요하다”며 “만약 시기를 놓쳐 후유증으로 발전되었다 하더라도, 불편한 증상에 집중하지 말고 한방치료를 병행한다면 보다 빠른 시일 내에 일상생활의 복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K-MEDI hub. ㈜이롭과 「2025 한국기술혁신학회 」 동시 수상 K-MEDI hub(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와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업 ㈜이롭이 소노캄 제주에서 열린 「2025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술혁신상 시상식에서 동시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재단은 ㈜이롭의 수술로봇개발 지원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기술혁신지원상을, ㈜이롭은 국산 최초 복강경 수술용 로봇 ‘이롭틱스’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의 일환으로 진행된 디지털 헬스케어·의료기기 특화 제품 개발 과제를 통해 ㈜이롭의 로봇기술 고도화를 지원했다. 특히 ‘이롭틱스’의 공인시험을 지원했으며, 전기·기계적 안정성 및 전자파 적합성, 성능시험 등 27건의 시험지원과 전자파 디버깅, 실무교육을 통해 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부분을 인정받았다. 더불어 협동로봇 카트 및 액세서리 기능 개선과 복강경 수술로봇 공동 디자인 출원 이후 기술이전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을 수행했다. 수상을 통해 ㈜이롭은 국내 1호 수술 협동로봇 ‘이롭틱스’에 이어 2세대 수술로봇 개발 및 전임상 성공을 통해 기술혁신을 인정받았다. 특히 2세대 수술보조 협동로봇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