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홍역 예방 접종’, 누가‧언제‧어디서 맞아야 하나?

2차 접종 완료되지 않은 어린이‧면역의 증거 없는 어른 접종 필요...12~15개월 1차, 만 4~6세 2차 접종… 어른은 4주 간격 2회 접종

설 연휴를 앞두고 국내에도 홍역 유행지역(대구‧경북 경산‧경기 안산)이 발생하면서 홍역 예방접종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 홍역은 환자와 접촉 시 90% 이상이 발병할 정도로 전염성이 강하지만,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2회 접종으로 효과적인 예방이 가능하다.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성훈 교수의 자문을 얻어 홍역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홍역 유행지역‧해외 방문 예정 없으면 가속 접종 필요 없어
MMR 백신 2회 접종이 끝나지 않은 영유아와 1967년 이전 출생자, 홍역 확진을 받은 경우, 홍역 항체가 확인된 경우, MMR 2회 접종력이 있는 경우 등 면역의 증거가 없는 성인은 접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홍역이 국가 예방접종 항목에 포함되어있어 적기에 접종하는 영유아는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면역의 증거가 없는 성인이나 생후 12개월 이전에 가속 접종을 하는 경우, 유료로 백신 접종이 가능하다. 그러나 반드시 전부 홍역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성훈 교수는 “국내에서는 홍역 환자의 경로파악과 감시가 잘 이루어지고 있어 유행지역이나 백신 접종률이 낮은 해외를 여행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굳이 접종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홍역 유행지역 거주자, 생후 6~11개월 사이 가속 접종 권고
홍역 예방 접종은 생후 12~15개월에 1차 접종을 하고, 만 4~6세 사이에 2가 접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1차 접종 시기를 놓쳤다면 16~47개월 사이에 1차 접종을 하면 된다.


홍역 유행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가속 접종이 권장된다. 정성훈 교수는 “MMR 접종은 1차 접종으로도 약 95% 홍역 예방 효과가 있어 6~11개월 사이에 미리 접종하는 것이 좋다. 단, 5개월 이하 아기는 모체에서 받은 항체의 영향으로 접종 효과가 떨어져 접종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어른의 경우에는 ‘예방접종 도우미(https://nip.cdc.go.kr)’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MMR 2회 접종력이 있는지 확인 후, 접종 기록이 없으면 MMR 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단, 국가 예방접종 전산등록이 2002년부터 시행되어 이전에 접종했으면 미등록 되어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홍역 항체 검사를 통해 면역력 획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건소는 만 12세까지만 접종 가능, 홍역 의심 시 선별진료소 지정의료기관 찾아야
홍역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으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접종이 가능하다. 만 12세가 넘었을 경우, 인근 병원 혹은 보건소에 예방 접종이 가능한지 문의 후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있다.


만약, 홍역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타인과의 접촉을 피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나 군 보건소로 문의 후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전국 홍역 선별진료소 지정의료기관에서 진료가 가능하다. 선별진료소 지정의료기관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힙하게, 감도 높게! MZ세대 일상에 스며드는 ‘요즘 캠페인’ 최근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생활 밀착형’ 캠페인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단순한 광고가 아닌, 일상 속에서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감각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캠페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제품만을 강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감과 공간, 그리고 체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소비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오프라인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팝업스토어나 전시 등 오프라인 현장에서 브랜드를 노출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인지도를 높이고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MZ세대의 일상에 감각적으로 스며든 브랜드들의 캠페인 사례를 함께 살펴보자. ■ 동아제약 파티온, 대학 축제 현장에 뜬 트러블 케어 순찰대 과제와 시험, 잦은 음주 등으로 피부 고민이 많아지는 대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동아제약의 트러블 케어 브랜드 파티온은 대학 축제 시즌을 활용한 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퍼스 스쿨어택 형식으로 기획된 ‘트러블 최강 순찰대전’ 캠페인은, 홍익대학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