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7.2℃
  • 구름많음대구 9.5℃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7.6℃
  • 맑음제주 15.5℃
  • 맑음강화 9.8℃
  • 맑음보은 4.0℃
  • 맑음금산 4.5℃
  • 맑음강진군 12.4℃
  • 구름많음경주시 6.6℃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룔용 마약류 '살빼는 약' 처방 빅5....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암페프라몬, 마진돌, 로카세린

식약처, 마약류 빅데이터로 식욕억제제 분석해 일선 의사에게 식욕억제제 처방 분석자료 및 안전사용 가이드 제공..."투여기간, 4주 이내 최대 3개월 넘지 말아야"

의사들이 다이어트를 돕기 위해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암페프라몬), 마진돌, 로카세린 등 5가지 성분의  식욕억제제를 주로 처방하는 것으로 나탔다.


식욕억제제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서 식욕을 느끼는 뇌에 작용하여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증가시켜 일명 '살빼는 약'으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의룔용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는 식욕억제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식욕억제제 성분과 병용하지 말아야 하며, 투여기간은 일반적으로 4주 이내로 사용하되 최대 3개월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장기간 복용할 경우 폐동맥 고혈압과 심각한 심장질환 등 부작용 발생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의사뿐만 아니라 복용하는 환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이같은 내용을 담아 비만 치료 등에 사용하는 식욕억제제 처방 정보를 분석한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이하 ‘도우미’) 서한을 처방의사에게 발송한다.


서한은 ‘졸피뎀’(수면제), ‘프로포폴’(수면마취제)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제공하는 도우미 서한으로, ‘18년 7월부터 ’19년 4월까지(10개월, 304일) 취급된 497만 건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식욕억제제 처방정보를 의사별로 분석한 자료다.


-의료용 마약류 성분별 사용 현황                                                                    (취급기간: ’18.7.~’19.4)

순위

성분별

효능분류

환자수

처방

기관수

처방

의사수

처방건수

사용량

(,)

1

프로포폴

마취·진통제

6,581,521

6,895

27,425

7,732,114

9,598,794

2

미다졸람

최면진정제

5,177,331

7,365

39,923

6,233,479

7,436,188

3

디아제팜

항불안제

2,871,675

24,456

58,873

10,452,775

138,721,619

4

알프라졸람

항불안제

2,237,731

22,394

58,149

11,703,162

244,407,847

5

페티딘

진통제

1,983,574

2,549

33,016

3,246,442

3,759,777

6

졸피뎀

최면진정제

1,612,589

29,274

72,696

9,174,274

178,873,128

7

펜타닐

마취·진통제

1,542,822

3,041

33,596

3,557,188

11,607,340

8

로라제팜

항불안제

952,464

13,376

46,577

9,524,117

141,083,986

9

에티졸람

항불안제

809,132

12,973

29,119

2,736,477

65,475,329

10

클로나제팜

항뇌전증제

789,163

13,923

42,314

6,147,822

125,438,282

11

펜터민

식욕억제제

744,718

21,588

30,989

2,550,653

71,059,030

12

레미펜타닐

마취·진통제

597,384

520

13,085

990,895

1,400,042

13

코데인

진해제

595,446

2,800

26,649

2,266,129

35,460,387

14

펜디메트라진

식욕억제제

528,426

13,103

16,935

2,304,792

112,703,793

15

트리아졸람

최면진정제

357,574

15,633

34,698

2,495,064

26,006,991

16

케타민

마취·진통제

295,718

1,486

8,990

383,948

204,972

17

클로티아제팜

항불안제

289,477

6,932

12,529

801,374

17,624,803

18

부프레노르핀

진통제

264,535

4,687

16,564

644,573

1,954,192

19

플루니트라제팜

최면진정제

234,388

4,619

8,567

2,394,810

33,361,442

20

옥시코돈

진통제

232,966

2,252

25,301

2,256,140

35,773,147

21

모르핀

진통제

216,776

1,363

18,337

1,508,708

4,222,387

22

지페프롤

진해제

211,338

1,250

3,438

431,521

5,521,625

23

티오펜탈

마취·진통제

194,347

971

5,810

210,250

234,818

24

브로마제팜

항불안제

182,748

4,161

7,735

1,105,699

21,636,788

25

메틸페니데이트

ADHD치료제

111,086

3,705

11,469

1,016,016

25,281,820

26

클로랄히드레이트

최면진정제

102,487

824

8,037

153,366

17,134

27

덱스트로메토르판

진해제

96,052

295

359

174,553

1,397,536

28

디에틸프로피온

식욕억제제

88,404

1,327

1,692

307,500

8,703,163

29

타펜타돌

진통제

69,177

307

6,375

410,896

5,680,535

30

히드로모르폰

진통제

57,830

331

6,429

306,664

3,026,407

31

날부핀

진통제

55,098

419

2,230

80,423

147,250

32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항불안제

54,305

1,501

3,767

206,097

4,133,691

33

플루라제팜

최면진정제

44,530

1,952

4,875

352,274

4,449,109

34

로카세린

식욕억제제

44,124

5,871

9,394

99,893

4,187,754

35

서펜타닐

마취·진통제

38,185

57

877

45,662

74,098

36

클로바잠

항불안제

35,437

1,050

5,104

155,003

8,477,193

37

부토르파놀

진통제

35,067

116

529

38,331

99,340

38

에틸로플라제페이트

항불안제

28,304

1,153

2,014

139,422

2,603,294

39

알펜타닐

마취·진통제

25,205

23

294

27,612

33,691

40

페노바르비탈

항뇌전증제

23,784

1,833

6,737

154,677

7,073,022

41

히드로코돈

진통제

23,135

226

1,738

104,059

1,936,781

42

디히드로코데인

진통제

8,776

64

1,550

49,816

545,923

43

멕사졸람

항불안제

6,917

234

394

23,327

523,281

44

마진돌

식욕억제제

5,559

371

430

16,033

506,762

45

펜토바르비탈

최면진정제

642

17

240

2,495

37,091



의사에게 제공하는 주요 내용은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수, 처방량, 주요 사용성분 ▲최대 치료기간(3개월) 초과 처방 현황 ▲연령 금기(16세 이하) 처방 현황 ▲식욕억제제 병용처방 현황 등 허가사항을 중심으로 의사가 본인의 처방 내역을 확인하고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전국 의사 및 같은 종별 의사(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의 평균 처방과 비교한 자료도 제공함으로써 본인 처방에 대한 적정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처방기간이 중복되는 환자수 ▲처방 환자가 방문한 의료기관수 ▲식욕억제제 2개성분 이상 병용처방 환자수 ▲처방량 상위 200명 해당 환자수 등 의사가 진료한 환자집단의 식욕억제제 오·남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정보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적정 처방을 위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분석기간에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환자의 10%는 2개성분 이상을 처방받았으며, 전체 처방의 30%가 투여기간이 4주를 초과하여 처방되어 적정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의사별 처방분석 정보 외에도 대상 기간 동안 우리나라 국민이 처방받은 ‘전체 의료용 마약류’ 및 ‘식욕억제제’ 분석 통계도 서한을 통해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18년 7월부터 ’19년 4월까지 10개월 동안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 받은 환자는 1,597만명이며, 국민 3.2명 중 1명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아 사용한 환자는 116만명으로 국민 45명 중 1명(전체 국민의 2.2%)에 해당하며, 의료용 마약류 사용 전체 환자 수 대비 7.3% 수준이다.


성별로는 여성(92.7%)이, 연령대별로는 30대(30.3%)가 가장 많았으며, 성분별로는 펜터민 성분을 처방받은 환자(52.8%)가 가장 많았고 그 뒤로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순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는 1개소(85.3%)의 의원급(95.2%) 의료기관에서 4주(28일) 이내(70.5%)로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위험도 높은 식품에 정밀검사 집중... 검사업무 효율화 및 안전관리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위해도가 높은 수입식품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가공식품 중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을 내년 1월부터 수입 통관검사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은 ▲축적된 과거 부적합 내용, 원재료 등 ‘수입식품 검사 정보’ ▲기상, 수질 등 ‘해외 환경 정보’ ▲회수, 질병 등 ‘해외 위해정보’를 융합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하여 부적합 가능성(위험도)이 높은 식품을 통관 과정에서 자동으로 선별하는 모델이다 기술발전, 환경오염 등 식품안전 위협 요인이 복잡·다양해지고 수입식품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식약처는 ’23년부터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7개 품목별** 위해요소의 특징을 반영한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고위험 식품을 보다 정밀하게 식별하기 위해 ’24년 12월부터 가공식품 중 과자류·조미식품의 통관단계 무작위검사***대상을 선별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올해 개발된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은 12월까지 시범운영하면서 시스템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점검한 후 내년 1월부터 수입식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바이엘 코리아-종근당, "심장과 콩팥은 운명 공동체" 캠페인 전개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당뇨병 환자에서 심장-콩팥 합병증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알리는 '심콩검진' 인식 증진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케렌디아가 2형 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 적응증에 이어 최근 만성 심부전 환자(LVEF 40% 이상) 대상 적응증까지 확대됨 에 따라 당뇨병 환자에서 심장과 콩팥의 통합적 관리 중요성을 알리고자 기획됐으며, 2024년부터 케렌디아의 공동판매를 맡고 있는 국내 파트너사인 종근당과 함께 진행했다. 바이엘 코리아와 종근당 임직원은 여의도공원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장과 콩팥은 운명 공동체, 당뇨병 합병증으로 심쿵 말고, 정기적으로 심(장)콩(팥)검진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통해 당뇨병 환자에서의 정기적인 심장과 콩팥 검진의 필요성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알렸다.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 조절의 문제만이 아닌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콩팥 질환, 망막 질환 등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데이터에 따르면, 말기 콩팥병 원인 질환의 48%를 당뇨병이 차지하고 있으며 , 심부전 환자의 65.5%가 당뇨병, 16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원광대학교병원, 2025 재난응급의료 종합훈련대회 참가... 국립중앙의료원장 수상 원광대학교병원(병원장 서일영)이 지난 11일(화), 12일(수) 충남 천안에 위치한 재능 교육 연수원에서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열리는 2025 재난 응급의료 종합훈련대회에 참가해 국립중앙의료원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1박 2일 일정으로 열린 이번 응급의료지원 종합훈련은 다수 사상자 발생을 가정한 실전형 종합훈련대회로 현장 협업체계 강화를 위해 매년 지역을 대표하는 기관들이 모여 술기·도상 훈련을 평가한다. 전국 DMAT(재난의료지원팀)와 보건소 신속대응반, 소방이 함께 참여해 재난 상황 발생 시 유기적인 재난 능력을 점검, 향상시키기 위한 대회로 열린다. 재난응급의료 종합훈련대회에서는 재난 상황으로 다수 사상자 발생을 가정, 현장 응급의료소 설치 및 운용, 환자 분류/응급처치/이송 등 실전 시나리오에 기반, 훈련/팀과의 통신 체계(PS-LTE) 활성도를 평가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체험 활동 및 이벤트가 있어 재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원광대학교병원은 이번 재난 응급의료 종합훈련대회에 문대식 외 3명이 참가해 술기훈련부문에서 국립중앙의료원장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김영 재난의료팀장은 “재난은 순식간에 발생해 많은 인적-물적 피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