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잡곡밥 많이 먹으면.."유방암 발생 감소"

서울의대 신우경박사 강대희교수 연구팀, 50세 미만 여성 하루 3회 잡곡밥 섭취 경우 하루 1회이하로 섭취하는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 33% 더 낮아

서울의대 신우경박사와 강대희교수 연구팀은 잡곡밥섭취가 유방암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영양학분야 최상위저널인 뉴트리언츠 (IF= 4.5) 에 오늘 게재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연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 검진,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40-70세 한국인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구축된 도시기반 코호트 (Health Examinees study, HEXA study) 자료를 이용해 식이패턴과 잡곡밥섭취와 유방암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HEXA 자료를 국가암등록사업 자료와 연계시켜 유방암 발생여부를 추적하였다. 도시기반코호트연구의 대상자 173,342명 중 여성 93,306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균 6.3년의 추적기간동안 359명의 유방암 환자가 발생하였다.


식사패턴과 잡곡밥섭취와 유방암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출산력, 첫출산 나이, 그리고 초경나이 등의 여성력, 유방암 가족력, 그리고 음주 운동 여부 등의 생활습관과 사회인구학적 변수)을 보정하였다.



연구 결과, 흰쌀밥을 많이 먹고 잡곡밥을 적게 먹는 흰쌀밥식사패턴(white rice dietary pattern)의 요인점수를 높게 받은 여성은 흰쌀밥식사패턴의 요인점수가 낮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위험이 35% 더 높았고, 흰쌀밥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유방암 발생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50세 미만 여성은 하루에 3회이상 잡곡밥을 섭취하는 경우, 잡곡밥을 하루 1회이하로 섭취하는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33% 더 낮았으며, 잡곡밥을 많이 섭취할수록 유방암 발생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백미는 도정과정에서 영양분이 줄어들고 탄수화물의 비중이 높은 반면, 잡곡밥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glycaemic index (혈당지수)가 낮은 통곡물(whole grain)이 많이 포함되어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통곡물은 식이 섬유가 풍부한데, 식이섬유는 배설물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발암물질의 흡수를 감소시켜 암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식이 섬유는 결장(대장)에 에스트로겐을 결합시키고 에스트로겐의 배설을 증가시켜 에스트로겐 농도를 감소시켜 유방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통 곡물에 들어있는 비타민 E는 발암 물질 형성을 예방하고 발암 물질-세포 상호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암에 대한 보호역할을 한다.


또한 통곡물에는 리그난을 포함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하다. 리그난은 항에스트로겐 효과가 있고,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유방에 항증식(antiproliferative) 특성이 있으므로 유방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잡곡밥식사는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힙하게, 감도 높게! MZ세대 일상에 스며드는 ‘요즘 캠페인’ 최근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생활 밀착형’ 캠페인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단순한 광고가 아닌, 일상 속에서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감각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캠페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제품만을 강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감과 공간, 그리고 체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소비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오프라인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팝업스토어나 전시 등 오프라인 현장에서 브랜드를 노출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인지도를 높이고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MZ세대의 일상에 감각적으로 스며든 브랜드들의 캠페인 사례를 함께 살펴보자. ■ 동아제약 파티온, 대학 축제 현장에 뜬 트러블 케어 순찰대 과제와 시험, 잦은 음주 등으로 피부 고민이 많아지는 대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동아제약의 트러블 케어 브랜드 파티온은 대학 축제 시즌을 활용한 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퍼스 스쿨어택 형식으로 기획된 ‘트러블 최강 순찰대전’ 캠페인은, 홍익대학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