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다케다, ISTH 2021서 희귀출혈질환 환자 대상 예방 혜택 보인 임상연구 발표

폰빌레브란트병 성인 환자 대상 재조합 인자를 통한 자발성 연간 출혈률 1차 유효성 평가변수 충족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지난 20일 재조합 폰빌레브란트 인자(recombinant von Willebrand factor, rVWF)을 통한 예방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3상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


이는 2021 국제혈전지혈학회(International Society on Thrombosis and Haemostasis, ISTH) 원격 학술대회에서 다케다가 발표한 초록 12건 중 하나이다. ISTH에서 발표된 초록 중 여러 건이 예방요법을 평가하고 있다. 이는 희귀출혈질환자의 치료 결과 개선을 위한 다케다의 헌신을 보여준다.


이번에 결과를 발표한 3상 임상연구는 전향적, 오픈-라벨, 글로벌 다기관 임상연구로, 중증의 폰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 disease, VWD) 환자 23명이 포함됐다.


연구 기간은 12개월로 두 치료군이 포함됐다. 이전 보충요법군(On-demand, OD)에는 이전에 폰빌레브란트 인자 보충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환자가 포함됐고, 교체치료군에는 이전에 예방적 혈장 유래제제(prophylactic plasma-derived VWF, pdVWF)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환자가 포함됐다[LPB0128].


연구 결과, 재조합 폰빌레브란트 인자(recombinant von Willebrand factor, rVWF)를 통한 예방요법은 이전 보충요법군에서 자발성 연간 출혈률(spontaneous Annualized Bleeding Rates, sABRs)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pdVWF 예방요법에서 rVWF로 교체투여한 환자에서는 동일한 수준의 지혈관리를 유지했다.


자발성 연간 출혈률은 과거 자발성 연간 출혈률과 비교평가한 결과, 이전 보충요법군에서는 91.5% 감소, 교체치료군은 유지됐다(연구 기간 자발성 연간 출혈률: 과거 자발성 연간 출혈률 비율(95% CI)은 보충요법군과 교체치료군 각각 0.09 (0.02, 0.35), 0.55 (0.09, 3.52)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확인된 위해성이나 rVWF 관련 중대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1. VWF: 리스토세틴 보조인자(Ristocetin cofactor) (VWF:RCo)의 약물동력학적 특징(PK) 및 혈액응고인자 VIII(FVIII)의 약력학적 특징(PD) 역시 분석 대상으로 이번 학술대회에서 함께 발표됐다[PB0917]  .


이탈리아 밀라노대학교 IRCCS 재단 안젤로 비안치 보노미 혈우병 및 혈전증센터 학과장인 플로라 페이반디(Flora Peyvandi) 박사는 “폰빌레브란트병의 경우 지혈이 후속 출혈을 예방해 주지 않고, 합병증과 출혈을 예상하기 힘들다는 특성이 많은 보충요법 치료 환자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며, “이번 3상 임상연구의 흥미로운 결과는 rVWF를 통한 예방요법의 잠재적 혜택과 폰빌레브란트병 환자의 추후 자발성 출혈 감소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ISTH 2021에서 발표된 문헌조사에서도 역시 폰빌레브란트병에서 보건 자원 활용, 삶의 질 및 출혈 관련 합병증 비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PB0924]  . 영국 가정의학과(GP)에서 파악된 폰빌레브란트병 환자 특성 및 관리에 대해 조사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경증 환자에서 출혈사건 발생을 논하였다[PB0927]  .


다케다의 혈액학 포트폴리오를 아우르는 추가 연구 데이터에서는 혈우병 A 환자 대상 PK 기반 예방요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애드베이트주의 장기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리얼월드 데이터를 분석한 ‘German AHEAD’ 연구결과는  PK 기반 예방요법과 표준 예방요법을 받는 혈우병 A 환자의 출혈률 비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PB0509]  .


PK 기반 예방요법이 임상 및 보건 자원 활용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CHESS II DB의 데이터를 활용한 리얼월드 분석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PB0554]  . 애디노베이트주를 통해 특정 FVIII 최저치를 목표로 하는 PK 기반 예방요법의 효과에 대한 PROPEL 3상 연구의 사후 분석 데이터 역시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PB0542]  .


다케다의 글로벌 혈액의학부 책임인 볼프하드 에르들렌브루흐(Wolfhard Erdlenbruch) 박사는 “다케다는 폭넓은 치료 포트폴리오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을 통해 앞으로도 희귀혈액질환 환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번 ISTH 2021에 발표된 데이터를 통해 폰빌레브란트병의 미충족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rVWF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PK 기반 예방요법을 통한 환자 맞춤형 치료 시 임상 및 자원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중증의 선천성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cTTP) 환자의 예방요법 및 보충요법 치료 사용에 대해 연구 중인 재조합 ADAMTS13 보충요법 ‘TAK-755’를 평가하기 위한 3상 연구설계[PB0837]  와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TTP)의 임상적 부담을 평가한 초록[PB0843]  이 함께 발표됐다.


TAK-755 개발과 함께, ADAMTS13 결핍과 관련된 희귀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혈액 장애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것은 희귀 혈액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훨씬 더 많은 환자의 미래 치료를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는 연구에 투자하고자 하는 다케다제약의 헌신의 일부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