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삼성서울병원, 세계 최초 IT 인프라 최고 등급 인증 획득

아루바 ESP를 통한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구축으로 안정적인 망 통합과 세계적인 수준의 첨단 IT 인프라 서비스 제공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가 삼성서울병원에 아루바 ESP 솔루션을 도입해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반 차세대 유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삼성서울병원이 미국 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협회(HIMSS)의 IT 인프라 인증 최고 등급인 7단계를 ‘세계 최초’로 획득했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스마트 병실과, 병상, 원격 회진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혁신에 노력을 가속화하면서 진료에 최적화된 첨단 의료환경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기존에는 분리된 여러 개의 망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운영 주체 또한 여러 파트로 나누어져 있었다. 따라서 보다 쉽고 빠른 업무 환경과 사용자 환경을 만들기 위해 분산된 망을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SDN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HPE 아루바는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Dynamic Segmentation)을 이용한 원내 망별, 구성원 별 롤 베이스와 더불어 아루바의 3S(Smart, Secure, Simple) 정책 기반의 SDN 네트워크 구성안을 제안했으며, 컨트롤러와 클리어패스(ClearPass) 및 스위치 제품으로 이루어진 유무선 네트워크 토탈 솔루션을 도입했다.


특히 자사의 UBT(User-Based Tunnel) 기술을 통해 여러 개로 나뉘어진 네트워크 망을 성공적으로 통합하고, 클리어패스로 네트워크 접속 단말 망 구분에 일원화된 정책을 수립했다.


이를 통해 삼성서울병원은 의료의 질을 높이면서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첨단 지능형 병원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HIMSS의 IT 인프라 인증 최고 등급인 7단계를 세계 최초로 획득하게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HPE 아루바의 아루바 ESP를 통한 성공적인 SDN 네트워크 구축으로 병원 전역에 최적화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병원 내 보안성과 안정성, 업무 편의성, 운영 효율성 등이 강화된 결과이다.


HIMSS의 IT 인프라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은 모빌리티, 보안, 협업, 전송 및 데이터센터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개별 항목 평가뿐만 아니라 각 항목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파악하는 방식으로, 병원의 임상 및 운영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술 인프라 기능을 평가하고 매핑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네이버쇼핑 라이브, 카카오쇼핑 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 라이브커머스 통한.. 식품·화장품 부당광고 29건 적발 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네이버쇼핑 라이브, 카카오쇼핑 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 라이브커머스(온라인 실시간 상거래) 방송에서 광고하는 식품·화장품·의료기기를 집중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화장품법」, 「의료기기법」을 위반한 부당광고 총 29건을 적발하여 신속하게 접속 차단과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소비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제품을 광고·판매하는 라이브커머스 방송이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실시했다. ◆ 라이브커머스 방송(일명 ‘라방’) : 실시간 방송을 뜻하는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과 전자상거래의 ‘e-커머스(e-commerce)’가 합쳐진 단어로 유명인, 전문 진행자 등이 소비자와 쌍방향으로 소통해 구매를 유도하는 방송 점검결과 식품 광고 18건, 화장품 광고 10건, 의료기기 광고 1건을 적발하였으며 해당 플랫폼 사 등에는 접속 차단을, 관할 행정기관에는 위반업체 행정처분 등을 의뢰했다. 이번에 적발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부당광고는 총 18건으로, 위반 내용은 ▲‘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