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섭취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1인당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개수도 늘어나고 있다. 비타민, 오메가3 등 기본적인 제품 뿐만 아니라, 피부, 다이어트, 관절 등 본인의 건강 고민에 맞는 제품까지 섭취하게 되면 하루에 10가지 이상의 제품을 섭취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은 의약물과 달리 약사, 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 후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최적 섭취량보다 과다하게 섭취하거나, 기저 질환이나 복용 약물에 따라 부작용 위험이 있는 제품을 섭취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영양제 분석앱 필라이즈에 유저들이 직접 등록한 15,171건의 ‘영양제 분석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유저당 평균 4.3개의 제품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섭취 개수의 약 2배인 8개 이상의 제품을 섭취하고 있는 경우도 전체의 12.9% (1,970건)에 달했다.
이 중 최적섭취량에 비해 과도하게 영양제를 섭취 중인 경우는 전체 분석 데이터의 42.8% (6,481건)으로, 마그네슘, 비타민B6, 비타민D 순으로 나타났다. 마그네슘의 경우 음식 외의 제품으로 과다 복용 시 설사, 복통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영양제 섭취량이 과하지 않은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기저질환이나 복용 중인 의약물과 함께 섭취 시 부작용 위험이 있는 경우도 17.1% (2,589건)으로 루테인, 오메가3, 지아잔틴 순으로 그 사례가 많았다. 오메가3는 많은 사람들이 흔히 섭취하는 영양성분이지만 소염진통제, 아스피린 등의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출혈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루테인, 지아잔틴은 흡연자가 섭취할 경우 폐암 발생률을 높일 수 있어, 내 건강 상태나 생활습관에 따라 주의해야할 영양제가 없는지 꼭 확인하는 것이 좋다.
최근 식약처도 늘어나는 건강기능식품의 과다 복용 및 부작용 사례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고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과 방안을 빠르게 마련하고 있다.
식약처가 지난 3월 한국건기식협회와 함께 오픈한 ‘건강기능식품 정보포털'에서는 ‘건기식 중복섭취 확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인이 먹고 있는 건기식 제품들을 입력하면 서로 중복되는 성분이나 기능, 병용 섭취 시 주의 사례도 함께 알려준다.
다만 해당 사이트에서는 국내 제품만 검색이 가능하고 제품별 성분 함량에 따른 과다 복용 여부까지 계산하기는 어렵다. 또한 개인의 건강 정보나 복용 의약물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 섭취량과 부작용은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초개인화 영양제 분석앱 필라이즈는 영양제 조합 분석 기능을 통해 내게 맞는 영양제를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양제 필수 앱'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저가 복용 중인 영양제를 등록하면 나이, 성별에 따른 필수 영양성분과 개인별 건강 데이터 (국가건강검진 기록, 기저 질환, 건강 고민)를 AI가 맞춤 분석한다. 최적섭취량에 비해 과다하거나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지 않은지, 내 건강 상태나 복용 중인 약물에 따라 함께 섭취 시 부작용 위험이 있는 영양제도 확인할 수 있다. 분석한 제품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성분이지만 필수적으로 필요하거나 내 건강 상태에 도움이 되는 추천 성분도 별도로 알려준다.
영양제 조합 분석 결과에서는 내 영양제 점수를 확인하고 비슷한 연령, 성별의 유저의 평균 점수와 비교해볼 수도 있다. 중복되는 영양제를 조절하거나 부족한 영양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추천 영양제를 더해, 내게 맞는 가장 최적의 영양제 조합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