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1 (화)

  •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14.5℃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6.5℃
  • 흐림대구 10.7℃
  • 흐림울산 11.7℃
  • 구름많음광주 11.1℃
  • 흐림부산 12.9℃
  • 구름많음고창 10.5℃
  • 제주 13.4℃
  • 맑음강화 5.2℃
  • 맑음보은 2.8℃
  • 맑음금산 4.4℃
  • 구름많음강진군 11.2℃
  • 구름많음경주시 8.9℃
  • 흐림거제 11.4℃
기상청 제공

대한류마티스학회 제1회 ‘통풍의 날’ 제정식



대한류마티스학회(이사장 이신석, 전남의대)가 3월 16일(목)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1회 ‘통풍의 날’ 제정식을 개최했다. 

통풍은 비교적 흔한 만성질환으로 혈액 내에 요산 농도가 높아지는 고요산혈증으로 인해 심한 급성 관절통을 반복해서 유발한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 대사성질환은 물론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과도 연관성이 높아 전문 의료진의 판단 하에 꾸준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지만, 아직 올바른 치료와 관리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다. 이에 대한류마티스학회는 지난해 의료진을 위한 통풍 관리 임상 진료지침 7가지와 환자를 위한 생활수칙 5가지를 발표한 것에 이어, 올해부터 매년 3월 16일을 ‘통풍의 날’로 제정, 통풍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고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

이 날 행사 1부 순서로는 ‘통풍 질환 알아보기’를 주제로 통풍 질환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통풍의 특성, 증상, 치료 방법, 생활습관 관리 방법 등 통풍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통풍 인식 조사결과는 정재현 교수(고려대안산병원)가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통풍 환자(626명) 및 일반인(242명) 총 86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남성이 75%, 여성이 22.8%였다. 특히, 비만(BMI가 25.0 이상)인 응답자가 45.6%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일반인의 비만 비율은 22.6%인 반면, 통풍 환자들의 비만 비율은 64.5%로 월등하게 높았다. 또, 통풍 환자들은 고혈압(46.4%), 고지혈증(32.3%)의 비율도 높았다. 

통풍 인지 정도는 통풍을 ‘잘 알고 있다’와 ‘대체로 알고 있다’가 92.4%로 높은 인지율을 나타냈다. 통풍 환자의 경우 잘 알고 있다가 45%로 일반인의 15.4%보다 인지율이 높았다. 통풍 환자가 통풍에 대한 정보를 얻은 경로는 병원진료가 43.3%, 인터넷 검색이 28.3%, 뉴스 기사가 9.9%, 의학 관련 프로그램이 9.8%로 나타났다. 

통풍에 대한 지식 정도는 평균 69.54점(100점 만점)이었으며 환자가 70.49점, 일반인이 67.09점으로 환자의 지식 정도가 더 높았지만, 환자와 일반인 모두가 지식 수준을 좀 더 높여야 할 필요성을 보여줬다.

통풍에 대해 궁금한 점으로는 통풍 예방법(30%), 통풍이 생기는 이유(29%),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지 여부(19%), 음식과의 관련성(12%), 통풍 치료 방법(10%) 순으로 응답했다. 통풍에 대해 필요한 점으로는 통풍 합병증 교육(23.7%), 통풍 치료에 도움되는 음식/피해야 할 음식(21.6%), 통풍 약물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교육(21.3%), 통풍 예후 및 경과 설명(18.4%), 통풍에 도움되는 운동요법 교육(14.6%) 순으로 응답했다.

설문조사 결과 발표 이후 안중경 교수(강북삼성병원)는 통풍은 주로 관절을 공격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도 큰 문제지만, 통풍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률 증가와 대사증후군이나 만성신질환, 그리고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 증가 등 전신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기원 교수(강원대병원)는 통풍의 약물치료에 대해 발표했다. 통풍은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조절 등의 비약물 치료를 함께 병행해야 하며, 혈중 요산을 6mg/dL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목표고 평생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권고된다고 말했다.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동반질환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민경 교수(이대목동병원)는 통풍의 생활습관 관리에 대한 발표에서, 모든 종류의 술, 과당을 포함한 음료, 고퓨린 함유 음식 섭취를 줄이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제품, 블랙커피, 체리 및 충분한 수분 섭취는 통풍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부 행사에서는 지난 2월 1일부터 24일까지 공모한 ‘통풍의 날 기념 통풍 쇼츠 & 4컷만화ᆞ포스터 공모전’ 선정작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으며, 의료진은 물론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통풍의 효과적 관리 방법을 다각도로 모색하기 위한 패널 토의를 진행했다. 패널 토의에는 통풍 환자인 방송인 홍석천 씨도 참여해 환자의 입장에서 통풍으로 인한 고충과 통풍 관리의 어려운 점 등도 공유했다.

대한류마티스학회 이신석 이사장은 “지난 20년 간 통풍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20-30대의 젊은 통풍 환자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번 인식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고, 질환과 관련한 여러 분야에 대한 교육 필요성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에 학회는 올해 처음으로 ‘통풍의 날’을 제정하고 앞으로 통풍 질환 및 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널리 전달, 통풍 환자들은 물론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송정한 제13대 분당서울대병원장 취임...“의료 혁신 선두주자 될 것” 송정한(58, 진단검사의학과) 분당서울대병원 제13대 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세상을 바꾸는 의료 혁신의 선두주자로 도약’을 선언하며, 지난 20일(월) 공식 취임식과 함께 본격적인 임기를 시작했다.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에서 온ㆍ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을 비롯한 내외빈 및 교직원 500여명이 참석했다. 송정한 신임 원장은 2003년 개원과 동시에 진단검사의학과를 이끄는 역할을 맡아 선진적인 진단검사 체계를 개발, 확립하는 등 병원의 고속 성장에 기여했으며, 이후 경영혁신실장, 교육수련실장, 인재개발실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쳐 2019년부터는 진료부원장 및 공공의료본부장으로서 병원 경영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수도권 감염병전문병원 건립 사업’을 진두지휘하며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역할에 대한 깊은 이해와 탁월한 리더십 등 경영인으로서 역량을 인정받은 바 있다. 해당 사업은 분당서울대병원 철탑주차장 부지 일대에 수도권 전역의 방역 컨트롤 타워가 될 전문병원을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5천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투입해 음압격리병상만 189개(총 348병상)에 달하는 감염 질환 특화시설을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