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8 (목)

  • 흐림동두천 21.7℃
  • 구름많음강릉 31.3℃
  • 흐림서울 22.0℃
  • 구름조금대전 28.1℃
  • 구름많음대구 28.4℃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많음부산 23.9℃
  • 구름조금고창 28.2℃
  • 구름조금제주 26.2℃
  • 흐림강화 21.6℃
  • 구름조금보은 27.4℃
  • 맑음금산 29.3℃
  • 구름많음강진군 26.7℃
  • 구름많음경주시 28.8℃
  • 구름많음거제 24.3℃
기상청 제공

보건단체

케이메디허브,복부대동맥류 진단 MRI 조영제 개발

복부 대동맥 부풀어오르는 위험도, 비침습적 방법 진단 가능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가 복부대동맥류를 특정효소로 진단할 수 있는 MRI 조영제를 개발해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

 복부대동맥류란 복부 내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의 벽이 약해져서 늘어나는 질병이다. 복부대동맥류가 파열되고 나면 수술밖에 치료법이 없고, 파열시 사망률이 80~90%에 이른다. 하지만 복부대동맥은 파열되기 전까지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발견이 느려 응급상황을 초래한다. 복부초음파나 MRI로 진단할 수는 있으나, 아직 발견확률이 높지 않다. 보다 정확한 MRI 조영제가 개발되면 파열의 정확한 위치 파악은 물론, 위험도 예측도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 정회수 선임연구원은 대구카톨릭대학교(윤성원 교수, 흉투풍 /Phuong Tu Huynh 박사) 연구진과 함께 세린단백질가수분해효소가 복부대동맥류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사실에 주목하여, 이를 타겟으로 하는 MRI 조영제를 개발했다. 

대구카톨릭대 연구진은 MRI 조영제 개발과 시험관내 세포 생물 안전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발된 조영제가 세린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작용하는지를 증명했다. 케이메디허브 연구진은 전임상센터 소동물용 MRI를 이용하여 개발된 조영제의 특성과 생체 밖으로 꺼낸 복부대동맥에서 조영제 효능을 평가하여, 개발된 조영제가 복부대동맥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조영제를 이용하면 절개 등의 침습적 치료없이 비침습적 MRI 영상으로 복부대동맥류 진단이 가능하게 되어, 향후 개발된 조영제를 전임상과 임상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활용 가능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몰리큘스(Molecules, IF=4.927)’ 학술지에 2023년 4월 17일자로 게재됐다.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이유 없이 심장박동 빨라졌다면,뇌졸중 위험 높이는 ‘심방세동’ 의심해야 심방세동은 심장의 보조 펌프인 심방이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로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매우 빠르고 불규칙한 맥박을 만들어 내는 부정맥 질환이다. 부정맥 중에서 가장 흔하고 무서운 질환으로 알려진 심방세동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최형오 심장내과 교수와 알아본다. 심방세동은 두근거림, 호흡곤란 등 심장 관련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있고, 증상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뇌졸중 등 합병증이 발생해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최형오 교수는 “심방세동이 무서운 이유는 ‘뇌졸중’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이라며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보다 사지 마비, 인지기능 저하 등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않고 매우 빠르고 미세하게 떨리는 상태로, 좌심방 내 혈액의 흐름이 느려지고 피가 굳어 혈전이 만들어질 수 있다. 혈전이 갑자기 떨어져 나가 뇌혈관 등 다른 장기 혈관으로 이동해 혈관을 막으면 뇌졸중, 색전증 등이 발생한다. 심방세동 초기에는 발작성으로 증상이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났다가,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가슴 두근거림, 숨이 차는 느낌, 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