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계는 졸속·부실·불공정 의대정원 수요조사 결과를 진행하고 일방적으로 발표,의료현장을 혼란에 빠뜨리고 의정관계의 신뢰를 무너뜨린 정부 책임자를 즉각 경질할 것을 촉구했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는 27일 오후 3시 이촌동 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진행한 의대정원 확대 대응방안 논의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 및 확대임원 연석회의' 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이필수회장은 "정부는 9.4 의정합의 원칙을 준수하여 의대정원 문제에 대해서는 의료현안협의체에서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와 합의를 진행할 것"을 요구 하는 한편 "정부가 일방적으로 의대정원 증원을 추진한다면 의료계의 역량을 총동원하여 권역별 궐기대회, 전국의사 총궐기대회 개최 등 투쟁강도를 높여 나갈 것이며, 파업에 대한 전회원 찬반투표를 즉각 실시하여 파업 여부를 결정묻는다"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진행된 '합리적 근거 없이 진행되는 졸속 의대정원 정책에 대한 전국 의사 대표응급실을문을 통해 "정부는 의사들이 소아 진료현장을 떠나고, 응급·중환자 진료를 두려워하는 원인을 의사 부족으로 몰아가며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이 소아진료를 포기하는 것이 의사가 부족해서인가?, 의사들이 응급실을 기피하고, 중증환자를 떠나는 것이 정말 의사가 부족해서 인가?,,지난 20여년간 정부정책의 실패를 인정하는 것이 두려워 의사 수 부족으로 몰아가려는 것인가? "등 세가지 사항에 대해 정부억 물었다.
또 의료와 교육이라는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한 결정을 함에 있어 정치에 굴복하여 나라의 미래를 볼모로 삼지 말라며 "의학교육의 당사자인 의대·의전원 학생들의 목소리는 정부 정책 어디에 담겨있는가? ,정부에서 의대정원 정책 협상 당사자라 인정한 대한의사협회의 의견과 협의는 필요 없는 것인가?,정부는 진정으로 의사 수만 늘리면 필수·지역의료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가?"에대 답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필수의료 종사자들이 안심하고 환자진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의료환경을 마련할 것과,의료전달체계를 바로 세우고 의료생태계를 지켜, 소멸하는 지역의료를 되살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의대증원을 말하기 이전에, 배출되는 의사들이 필수·지역의료로 유입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과 로드맵을 먼저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또 "의료계의 절규와 외침에도 정부가 끝내 눈을 감고 귀를 닫는다면 전국 14만 의사와 2만 의대·의전원 학생들은 분연히 일어나 우리의 뜻을 전할 것"아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