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8 (토)

  •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6.7℃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생존률 향상 크게 느나"

인게니움테라퓨틱스,차세대 NK 세포치료제 ‘젠글루셀’ 최대 10년 장기간 추적관찰 결과논문, 네이처‘Leukemia’에 공식 발표
대안이 없는 불응성 AML 질병 환자 “조혈모 세포이식 후 젠글루셀 투여 시 질병 재발률 유의하게 감소”



-이식편대숙주병, 부작용 리스크도 없어 장기적인 안전성도 입증

차세대 NK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인게니움 테라퓨틱스(대표 고진옥, 이하 인게니움)가 개발한 메모리 NK 세포치료제 젠글루셀(Gengleucel)에 대한 최대 10년 장기추적관찰 결과가 최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백혈병 전문 저널 루케미아(Leukemia)에 공식 게재되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과거 임상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중 재발/불응성 난치성 환자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HSC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후 젠글루셀을 투여 받은 환자군(69명)과 젠글루셀 투여 받지 않은 대조군(58명)의 장기간 효과 및 안전성을 비교 관찰한 결과다.



특히, 이들 중 치료 대안이 없는 불응성 AML 환자의 비율은 매우 높았는데, 젠글루셀 투여 환자군의 비율은 80%, 젠글루셀을 투여하지 않는 대조군의 비율은 76%로 많은 환자들이 불응성 AML 환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장기추적결과를 보면, 젠글루셀을 투여한 환자군에서 60개월 시점에서의 누적질병진행률(Disease Progression)은 44%로(대조군은 62%)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와 질병 재발율 감소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장기 추적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120개월(10년) 시점에서 무진행생존률(PFS: progression-free survival)은 젠글루셀 투여 환자군은 25%, 젠글루셀을 투여 받지 않은 대조군은 12%로 젠글루셀이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생존률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외에도 이식편대숙주병(GVHD: graft-versus-host disease) 등 부작용 리스크도 없어 장기적인 안전성도 입증되었다.

이번 논문은 작년 3월 루케미아(Leukemia) 저널에서 발표된 AML 대상 젠글루셀의 효력 검증을 위한 전세계 최초 NK 세포치료제 무작위 배정 임상 결과에 이은 후속 논문이다. 

인게니움 고진옥 대표는 “그동안 연구자 주도 임상으로 진행된 젠글루셀은 현재 국내 상업화를 위한 임상 2상에 대해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며 임상 개시 준비 중이다. 젠글루셀의 해외 진출을 위해 미국 내 글로벌 암센터와 함께 임상을 추진 중이며, FDA의 임상 승인을 위한 신청준비에 들어 갔다”고 밝혔다.

2020년 11월 설립된 인게니움는 Memory NK 핵심 기술 및 임상데이터를 보유한 신약개발 회사다. 캡스톤파트너스, 케이그라운드벤처스, 라플라스파트너스, 대우당헬스케어등으로부터 53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하는 등 총 누적 투자 유치액은 140억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SK행복나눔재단, 2025 취업연계형 장애인 육성 프로그램 훈련생 모집 SK그룹의 사회공헌재단 행복나눔재단(이사장 최기원)은 ‘2025 취업연계형 장애인 육성 프로그램’에 함께할 청년 장애인 훈련생을 모집한다고 17일 밝혔다.‘취업연계형 장애인 육성 프로그램’은 행복나눔재단이 청년 장애인의 안정적인 사회 진출과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의 성장을 돕기 위해 2021년부터 추진 중인 ‘세상파일 장애인 고용 확대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청년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를 개발하고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장애인을 선발해 맞춤형 직무 훈련과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시에 장애인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을 발굴, 연합해 훈련 수료생들의 채용까지 연계한다.2024년까지 훈련 수료생의 93%인 60명의 청년 장애인이 취업에 성공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은 누적 51개사에 달한다. 지난 참여 기업으로는 △SK엔무브 △SK쉴더스 △한국투자증권 △콘센트릭스서비스코리아 △법무법인 광장 △티맵모빌리티 △메가존클라우드 △한국하우톤 △대학내일 등이 있다.이번에 모집하는 2025년 직무 훈련 과정은 ‘AI콘텐츠디자인’과 ‘경영관리·회계사무’ 2개 분야로 구성됐다. 선택한 직무에 따라 △디자인(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피그마, 실무이론) △생성형AI프로그램(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