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7 (수)

  • 흐림동두천 23.7℃
  • 흐림강릉 23.4℃
  • 흐림서울 24.7℃
  • 흐림대전 22.8℃
  • 흐림대구 23.1℃
  • 흐림울산 23.0℃
  • 흐림광주 24.8℃
  • 안개부산 23.2℃
  • 흐림고창 26.6℃
  • 구름많음제주 26.6℃
  • 흐림강화 24.9℃
  • 흐림보은 21.9℃
  • 흐림금산 22.3℃
  • 흐림강진군 24.0℃
  • 흐림경주시 23.0℃
  • 흐림거제 25.3℃
기상청 제공

노인성 잠꼬대,잘 살피면 치매 진행 여부 알 수 있다...어떻게?

'렘수면행동장애' 100명 중 6명은 "치매, 파킨슨병으로 진행"
서울대병원,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뇌파 활용해 치매·파킨슨병 예측 가능성 제시
연구진, 신경퇴행성질환 예측하는 뇌파 기반 머신러닝 모델 설계
발병 시기 및 유형 예측 정확도 우수...렘수면행동장애 예후 개선 효과 기대

 

 렘수면행동장애 치료의 난제로 여겨졌던 신경퇴행성질환 발병을 예측할 실마리가 제시됐다. 국내 연구진이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뇌파’를 이용해 치매와 파킨슨병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예측력을 검증한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김한준 교수 및 강동경희대병원 변정익 교수 공동연구팀이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뇌파를 활용해 신경퇴행성질환 발병 시기와 유형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2일 발표했다.

  노인성 잠꼬대로도 불리는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속의 행동이 현실로 표출되면서 자는 동안 소리를 지르거나 몸부림치는 행동이 나타나는 수면장애다. 매년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6%는 치매,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졌는데 언제, 어떤 유형으로 발병할지는 예측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먼저 서울대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렘수면장애 환자 233명을 최대 9년간 추적 관찰해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군과 미발병군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뇌파 특성을 비교분석했다.

  이후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과 연관된 뇌파를 사용하여 첫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까지 걸린 시간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설계했다. 테스트 결과, 예측 성능을 나타내는 IBS(낮을수록 우수)와 C-index(높을수록 우수) 수치는 각각 0.113, 0.721로 우수했다.

  추가로 연구팀은 발병군의 뇌파만 분석하여 렘수면행동장애가 ‘치매(인지기능 이상)’ 또는 ‘파킨슨병(운동기능 이상)’ 중 어느 유형으로 진행할지 분류하는 머신러닝 모델도 설계했다. 그 결과, 예측 성능을 나타내는 AUROC(곡선아래면적) 수치는 0.901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퇴행성질환 발병 시기 및 유형 예측 머신러닝 모델은 공통적으로 ‘뇌파 둔화’ 관련된 특성의 중요성이 높았다. 뇌파는 저주파(델타파, 세타파)가 증가하거나 고주파(감마파, 베타파)가 감소할 경우 둔화된다.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군’은 미발병군보다 뇌파가 둔화되었고, 발병군 중에서는 ‘치매’가 파킨슨병보다 뇌파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뇌파검사로 확인된 느린 뇌파 양상은 신경퇴행의 시작을 의미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연구 결과는 대규모 코호트에서 ‘뇌파’를 활용하여 예측하기 어려웠던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예후를 일찍이 파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정기영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개발된 신경퇴행성질환 예측 모델을 활용하면 의료진은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중 치료가 필요한 대상을 조기 선별하고, 환자는 맞춤형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수면(SLEEP)’ 최근호에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동물보호단체에 운송용 케이지 기증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 전임상센터가 동물보호단체인 (사)러피월드에 동물 운송용 케이지를 기증했다. 러피월드(대표 곽동진)은 경산 소재의 민간동물보호단체로 유기·학대 동물의 구조 및 보호, 입양을 통해 동물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도록 지원하고 있다. 동물보호단체에서는 동물의 구조 시 동물 운송용 케이지(Kennel)를 활용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구조활동을 위해서는 케이지 수량 확보가 필요하다.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는 동물의 구조 및 보호를 위해 러피월드에 동물 운송용 케이지 12개를 기증했다. 기증된 케이지는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이동하는 데 활용되어 유기·학대 동물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는 2018년부터 동물 운송용 케이지를 기증하고 체계적인 실험동물 관리시스템을 마련해 동물복지 증진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까지 대구시 수의사회, 경북 수의사회, 자인동물보호소, 케이원 독스쿨 탐지견센터에 케이지를 기증했다. 또한, 센터 내 실험동물전임수의사 등 실험동물 및 사육시설 관리 전담인력을 운용하고 있으며 2021년 12월에는 국내 연구기관 중 최대 규모(547m2) 실험견 전용 놀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 전신 발작 일어 났다고..."팔다리 주무르거나 바늘로 손발 따는 등의 요법 증상 완화에 도움 안돼” 뇌는 세포들끼리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으며 활동하는 신체 기관이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이 전기적 신호가 적절히 만들어지고 제어되지만, 여러 원인에 의해 뇌 조직이 과다한 전기를 방출하면 발작이 일어나게 된다. 뇌전증은 이런 발작이 특별한 유발 요인 없이 최소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소아 뇌전증은 소아기에 이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소아 뇌전증은 유전적 요인, 미숙아, 분만 중 뇌 손상이나 저산소증, 뇌 감염, 선천적 뇌 구조 이상, 외상 등으로 발생한다. 이들 원인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아직 기전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뇌전증은 전체 인구의 0.5~1%에서 나타날 만큼 비교적 흔한 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소아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발생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15만933명이 뇌전증으로 병원을 찾았고, 이 중 20세 미만 소아 뇌전증 환자는 3만703명으로 20.3%를 차지한다. 박유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뇌전증이 있으면 대개 지능이 낮거나 학습 능력이 떨어질 것으로 오해하고 숨기려 하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지기능에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