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8.4℃
  • 맑음서울 -10.9℃
  • 대전 -8.4℃
  • 맑음대구 -6.2℃
  • 맑음울산 -5.8℃
  • 광주 -4.7℃
  • 맑음부산 -5.2℃
  • 흐림고창 -5.5℃
  • 흐림제주 1.8℃
  • 맑음강화 -13.4℃
  • 흐림보은 -8.3℃
  • 구름조금금산 -9.5℃
  • 구름조금강진군 -3.1℃
  • 맑음경주시 -7.0℃
  • 맑음거제 -5.2℃
기상청 제공

말기콩팥병 환자 발병률, 10년 사이 2배 늘어...사망률은 크게 줄어

당뇨 원인, 48%를 차지...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콩팥병 발병 증가 속도 세계에서 가장 빨라
대한신장학회,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 발간”



우리나라 말기콩팥병의 주요 원인 질환은 당뇨로 전체 원인 질환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콩팥병 발병 증가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말기콩팥병의 치료로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이 있는데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가 84%로 가장 많았고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는 11% 복막투석 환자는 6% 였다.  특히 혈액투석 치료 비중이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한 반면 재택치료가 가능한 복막투석 치료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였다. 

말기콩팥병 사망률은 크게 줄어 2010년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는 62명에서 2020년 47먕으로 감소하였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2010년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는 76명으로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의 46명 보다 많았다. 하지만 2020년에는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는 46명으로 대폭 감소하여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의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 43명과 비슷하였다. 이는 발전된 당뇨병콩팥병에 대한 의학 지식 및 기술 발전과 의료진의 경험이 축적으로 인한 숙련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이사 김용균(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교수는 “이번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는 우리나라 말기콩팥병의 심각성과 현황을 일반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확한 자료를 쉽고 직관적이며 시각적으로 구성하였다” 고 밝히고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말기콩팥병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말기콩팥병 관리 및 치료를 체계화하는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한신장학회 이사장 임춘수(서울의대 보라매병원) 교수도 “이 자료는 작년에 천명한 향후 10년간의 콩팥건강 개선 계획인 국민콩팥건강개선안(Kidney Health Plan) 2033을 완수하기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며, 이 자료를 토대로 학회, 정부가 만성콩팥병으로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팩트시트는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에서 1987년 이후 매년 우리나라 말기콩팥병 환자 전수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는 대한신장학회 홈페이지 (https://ksn.or.kr/bbs/?code=Factsheet)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 실명 가장 흔한 원인, ‘미숙아 망막병증’... "재태연령과 체중" 위험 인자 망막의 혈관 형성은 태생기 4개월부터 약 40주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진행되므로, 미숙아의 망막은 보통 모체 밖에서 자라난다. 이때 환경의 변화로 혈관이 끝까지 자라지 않거나, 신생혈관이 같이 자라게 되면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의학의 발전으로 재태주수 25주 미만 초미숙아가 증가해 ‘미숙아 망막병증’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안과 김진하 교수와 ‘미숙아 망막병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김진하 교수는 “국내 연구에 따르면, 미숙아 망막병증은 재태연령 37주 미만 미숙아의 약 30%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실명 예방에 가장 중요하므로, 모든 미숙아는 미숙아 망막병증 선별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숙아 망막병증은 모체의 자궁 내와 모체 밖의 환경이 달라 발생하게 된다. 출생하면 혈관 형성을 지원하는 생리적 환경이 단절되고 산소분압 차이가 생겨, 혈관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혈관 폐쇄가 일어나거나 혈관증식이 일어나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미숙아 망막병증의 주요 위험인자는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다.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 적을수록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률이 더 높고 정도가 더 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