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정년 의대교수는 소중한 자산..."의사는 한번 진료하면 그 환자의 영원한 주치의다."

서울아산병원, 정년 후 계약직으로 계속 진료 기회 제공 하지만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은 없어
환자가 정년 교수를 따라가도 환자가 최고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협조해야
다른 병원으로 이동하는 의사와 환자를 경쟁상대나 적으로 여기면 안 돼

저는 2월말로 성대의대와 삼성서울병원에서 정년을 맞이한 홍승봉 명예교수가  "한국 사회는 정년 교수들의 탁월한 능력과 경험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정년 소감과 정년교수들의 소중한자산을 활요해야 한다는 취지의 글을 보내 왔다. 홍교수는 현재 강남베드로병원 신경과 원장으로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중요 내용을 간추려 싣는다.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다.(편집자 주)

의과대학 정년 교수들은 환자 진료와 의학의 최고봉에 있는 의사이다. 한국 병원들의 일괄적인 학교 정년과 동시에 병원의 정년퇴직 규정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며 최고 의료자원의 큰 손실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정년 후 계약직으로 계속 진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에는 없다. 어떤 병원은 정년 교수가 은퇴한다고 말하면서 신환 예약을 막는다. 정년 의대교수는 은퇴(직책에서 물러나서 한가로이 지냄)가 아니고 다른 병원으로 이직하는 것이다. 일생 동안 많은 환자를 진료하고 많은 병원 식구들을 먹여 살린 은인이다.

병원과 후배로부터 최소한의 예의와 존경이 필요하다. 후배 의사들은 정년교수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한강의 기적과 같은 현 의료 수준이 되었다는 것을 잊지 마라. 수술 의사의 해외연수로 뇌전증 수술이 중단되어서 후배 교수에게 수술대기 환자들을 걱정했더니 “교수님은 내년 2월에 정년이신데 왜 걱정하세요?”라고 되물었다. 정년 교수에 대한 이런 생각도 문제이지만 그 보다 환자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정년은 그 직장에서 퇴직하는 것이지 의사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다. 병원은 환자에게 “정년퇴직 하시지만 은퇴가 아니고 다른 병원으로 이직하여 계속 진료 하십니다”라고 전달해야 한다. 

104세 철학자 김형석교수님은 “60쯤 되니 조금 철이 드는 것 같았고, 75세쯤까지는 성장을 하는 것 같았다. 65세에 정년한 후엔 더 열심히 일했고, 76세 즈음에 제일 좋은 책들이 나왔다”고 말씀하셨다. 병원과 젊은 의사들은 이 말을 꼭 명심하라. 매일 특정 의학 분야의 논문이 수 백편씩 나온다. 의학 발전의 100분이 1도 따라가기 어렵다. 의사는 항상 나의 의학 지식은 부족하고 계속 배워야 한다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지금은 의료대란으로 단 한 명의 정년 의대교수도 진료를 계속해야 한다. 정년 교수에게 환자 진료와 의학연구는 일상이며 전부이다. 

정년 교수는 환자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이 크기 때문에 정년 후에도 계속 진료하고 싶어 한다. 후배 교수가 정년 교수의 환자들을 이어 받으려면 본인이 먼저 훌륭하고 희생적인 의사가 되어서 믿음과 신뢰를 주어라. 항상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결정해라. 환자가 정년 교수를 따라가도 그 환자가 최고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협조해라. 다른 병원으로 이동하는 의사와 환자를 경쟁상대나 적으로 여기면 안 된다. 의사는 한번 진료하면 그 환자의 영원한 주치의다.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이동해도 여전히 주치의다. 1명 보다 2명 이상의 의사가 협동하면 더 좋은 진료를 할 수 있다.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환자의 의뢰-되의뢰가 일상이다. 한국은 병원을 이동했다가 다시 찾아가면 왜 다시 왔냐고 말하는 의사도 있고, 서울 빅4 병원에서 진료를 받다가 전신경련발작이 발생하여 예전에 다니던 부산 종합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더니 전 주치의는 다시는 오지 말라고 말한다. 의사는 모든 환자들을 항상 나의 소중한 고객이라고 생각하고 나를 떠나는 환자에게도 “필요하시면 언제라도 다시 오십시오.”라고 따뜻하게 대하는 것이 인술(사람을 살리는 인자한 기술)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콘택트렌즈’ 착용한 채로 수영 등 물놀이 안돼...왜? 의료기기 콘택트렌즈는 안구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시력 보정 목적의 제품으로, 시력 검사와 눈의 질환 여부 등에 대한 안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후 안경원 등 판매처에서 구매해야 한다. 의약외품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은 콘택트렌즈의 관리를 위해 세척, 보존, 소독, 헹굼 등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구매 시 제품의 용도와 사용하는 렌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름철 물놀이 등 상황에서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사항 등을 아래와 같이 안내했다. < 물놀이할 때 ‘콘택트렌즈’는 착용하지 마세요 >콘택트렌즈는 원재료에 따라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하드 콘택트렌즈로 분류되고, 착용 시간에 따라 매일착용 렌즈와 연속착용 렌즈로 분류되므로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제품별 올바른 사용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는 항상 손을 깨끗하게 씻고 착용 전 렌즈 표면에 불순물이 없는지 확인하여 각막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각막에 산소가 잘 공급될 수 있도록 권장 시간 이상 오래 착용하지 않아야 하며, 다른 사람이 착용했던 렌즈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서울대병원, 아시아 최초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 성공..."모든 환자 적용은 숙제" 서울대병원이 단일공 로봇을 이용 생체 신장이식을 아시아 최초로 성공했다.이식은 기증자·수혜자 모두 적용 했으며 흉터와 통증 최소화로 회복 속도도 빨랐다. 단일공 로봇 수술은 한 곳만 절개하는 최소 침습 기법이다. 기증자는 배꼽 약 3~4cm, 수혜자는 하복부 약 6cm의 단일 절개로 수술을 진행해 절개 범위를 기존 개복 대비 현저히 줄이고 통증과 회복 부담을 낮춘다. 특히 수혜자 신장이식에서는 신장 동·정맥과 요관을 제한된 시간과 공간에서 정교하게 연결(문합)하고, 혈류 재개 직후 발생할 수 있는 미세 출혈까지 신속히 제어해야 한다. 이를 단일 포트로 구현하려면 높은 숙련도와 표준화된 수술 프로토콜이 필수다. 기존 신장이식은 개복, 복강경, 다공 로봇 등으로 진행돼 왔다. 개복 수술은 약 20cm 이상의 절개가 필요해 회복이 오래 걸리고 흉터가 크며, 복강경·다공 로봇은 절개 범위는 줄었지만 복부 여러 부위에 절개가 필요하다. 반면 단일공 로봇은 배꼽(기증자) 또는 하복부(수혜자)에 각각 한 개의 절개만으로 수술이 가능해 절개 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수술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팀이 단일공(single port)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