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세 이모씨는 최근 밝은 곳에서 눈이 부시고, 시야가 뿌옇게 흐려져서 안과를 찾았다가 백내장 초기 진단을 받았다. 이모씨는 시력이 떨어지지 않아 당분간 약물치료를 통해 경과를 지켜보기로 했다.
최근 노인성 질환인 줄 알았던 백내장 수술을 받는 40~50대 환자가 늘고 있다. 백내장 환자가 젊어진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40~50대 백내장 수술은 2018년 6,992건에서 2023년 16,423건으로 최근 5년새 2.3배 증가했다
분당제생병원(병원장 나화엽) 안과 장윤경 과장은 “백내장은 눈 속의 수정체(렌즈)가 여러 원인에 의해 뿌옇게 혼탁 해져서 시력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백내장은 유전적인 원인 등에 의해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노화나 외상, 전신질환, 눈 속 염증, 안약 사용 등에 의해 발생하는 후천적인 백내장이 많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노화의 일부로 발생하기에 60세 이상에서는 대다수가 백내장을 경험하게 된다.”고 말했다.
과거에는 주로 60대 이상에서 백내장 수술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40~50대 환자도 많다. 백내장이 젊어지는 이유는 단순한 노화 뿐 아니라 당뇨, 아토피 등 만성질환, 외상, 유전, 약물, 자외선, 그리고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기기 사용 등 다양한 환경적, 생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안과 장윤경 과장은 “당뇨, 아토피와 같은 질환이 젊은층에서의 백내장 발병 위험을 높이고, 실외 활동이 많거나 자외선 차단 없이 장시간 노출 될 경우 수정체 손상이 빨라지며, 스마트폰, 컴퓨터 등 강한 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해 눈의 노화를 촉진시켜 백내장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내장은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는 악화 방지를 위한 약물치료를 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수술이 유일한 치료이다, 시력이 일상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저하되면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장윤경 과장은 “백내장 수술은 초음파유화술이라는 기술을 사용해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한다. 제거된 수정체 자리에 투명한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여 시력을 회복하게 되는데 인공수정체는 한 곳만 선명하게 보이는 단초점과 노인 교정이 가능한 다초점 렌즈가 있어 환자의 상태와 생활패턴에 따라 적절하게 렌즈를 선택하여 수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름철로 넘어가면서 자외선도 강해지고 있다. 특히나 여름철 해수욕장의 자외선은 물과눈에 반사되는 자외선이므로 더욱 위험해 장기간 노출은 피해야 한다. 백내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용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당뇨 환자의 경우는 혈당을 잘 조절해야 하며 특히, 젊은 층의 백내장은 대부분 진행이 느리고 통증이 없어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당뇨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