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중·일 바이오 리더들의 첫 공동 컨퍼런스 성료

한국바이오협회와 RX코리아가 공동 후원하고, 중국바이오의약산업협회(CBPIA)와 리드시노팜 전시그룹(RSE, Reed Sinopharm Exhibitions)이 주관한 Asia Bio Connect 2025 컨퍼런스가 지난 5월 22일 중국 광저우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

이번 행사는 한·중·일 3국 바이오의약품 산업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인 첫 공식 컨퍼런스로, 각국 정부와 산업계를 대표하는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아시아 바이오 시장의 최신 동향과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기반을 마련하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됐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단순한 학술 교류를 넘어 아시아 바이오 시장이 직면한 기술 혁신 과제와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중심으로 심도 깊은 논의와 실질적인 협력 방안이 오가고,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바이오헬스 산업의 국가전략산업화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아시아가 바이오 신성장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더욱 주목되는 자리였다.

중국 측에서는 중국과학원 원사인 Guanghui Ma 교수와 아시아세포치료학회(ACTO) 회장 Akihiro Shimosaka 교수가 VIP로 참석해 행사의 위상을 높였다. 이들은 각각 신약 및 백신 전달용 미세구체 개발, 그리고 세포·유전자·엑소좀 치료제 개발 시 고려사항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아시아 바이오 리더십 구축에 힘을 실었다.

한국 측에서는 산업연구원 최윤희 박사가 ‘The Korean Bioeconomy’를 주제로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성장 전략, 정부 정책, 산업 구조의 강점을 분석해 주목을 받았다. 동아ST 공영규 박사는 ‘Innovating ADCs through the Convergence of bsAb and Payload Expertise’를 발표해 정밀 타깃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기술력을 부각시켰다. 마지막 연사로 나선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홍지연 이사는 ‘Pioneering the Future of Antibody Therapeutics via Innovation and Partnerships’을 주제로 오픈 이노베이션과 글로벌 공동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서 한국은 행사 명칭 선정과 주요 어젠다 기획을 주도하며 아시아 바이오 협업의 중심국으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했다. 내년인 2026년에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OPLUS-INTERPHEX KOREA)’와 ‘제2회 Asia Bio Connect 2026’이 서울에서 동시에 개최될 예정이며, 더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참여하는 대표 리더십 행사로의 확장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일본 산업계를 대표하는 RX재팬이 직접 참여할 계획으로, 한층 풍성한 행사 구성이 기대된다.

이번 행사를 총괄한 RX코리아 손주범 대표는 “삼국 간 긴밀한 협업이 한국의 주도로 잘 이뤄졌으며, 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바이오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며 “내년 한국 개최 시 미국과 유럽의 바이오 선도기업들이 한국을 찾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와 서울시의 적극적인 후원도 기대하며, 앞으로도 삼국 협력의 중심에서 한국이 리딩하는 모습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Asia Bio Connect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협력의 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하며, 참가자들의 전문성과 통찰력 있는 발표가 아시아 바이오 산업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Asia Bio Connect 2025는 단순한 컨퍼런스를 넘어 아시아 바이오 산업의 방향성과 연대의 흐름을 새롭게 제시한 전략적 전환점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국제약 센텔리안24 ‘마데카 크림’ 출시 10주년...“누적 판매 7천만개” 달성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의 대표제품 ‘마데카 크림’이 출시 10주년을 맞았다. 2015년 센텔리안24 론칭과 함께 선보인 마데카 크림은 50여년간 식물성 원료의 연구개발을 진행해 온 동국제약만의 차별화된 성분과 독자적인 피부과학 기술력으로 완성한 프리미엄 토탈 안티에이징 크림이다. 마데카 크림은 브랜드 핵심성분인 ‘TECA’(테카,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와 다양한 병풀 유래 액티브 성분을 함유해 피부 탄력, 진정, 보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TECA의 원료인 센텔라아시아티카(병풀)는 마다가스카르를 비롯한 청정지역에서 자라며 오랫동안 마다가스카르 섬 주민들의 피부병을 치료하는 민간요법으로 활용돼 왔다. TECA는 센텔라아시아티카의 유효성분을 정제한 것으로 원물 100kg에서 단 2%만 원료로 추출 가능하며, 피부 진정, 보습, 보호, 탄력 케어, 피부결 케어, 콜라겐 합성 등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동국제약은 독자적인 기술력과 까다로운 공정 시스템을 거쳐 이 성분을 직접 정제하고 추출해 차별화된 원료를 완성했다. 현재까지 출시된 마데카 크림은 ▲마데카 크림 ▲마데카 크림 센텔라 하이드레이팅 포뮬러 ▲마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민주평통 의료봉사단, 상반기 북한이탈주민 가정 모범학생 대상 장학금 수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의료봉사단(단장 김철수,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서울 민주평통 사무처에서 ‘2025년 상반기 북한이탈주민 가정 모범학생 장학금 수여식’을 지난 27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장학사업은 북한이탈주민과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업 지원과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도모하고, 평화통일 기반 조성과 국민통합에 기여하고자 마련되었다. 전국 18개 지역협의회에서 추천된 125명의 학생 중 총 35명이 엄정한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되었으며, 대학생 15명에게는 각 200만 원씩, 중·고등학생 20명에게는 각 100만 원씩 총 5천만 원의 장학금이 지급되었다. 행사에는 김관용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태영호 사무처장도 함께했다. 김관용 수석부의장은 축사를 통해 “오늘 이 자리는 여러분이 미래 사회 지도자로 성장해 나갈 첫걸음이자 출발점”이라며, “흔들림 없이 꿈을 향해 나아가기를 바란며 오늘의 기억이 여러분 인생의 자랑스러운 이정표가 되길 염원한다”고 격려했다. 김철수 의료봉사단장(대한적십자사 회장)은 “봉사단은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며, “여러분이 건강하게 성장해 평화통일과 조화로운 사회 주역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