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수면무호흡 치료 안 하면 부정맥 재발률 높아진다”

미국수면학회, 수면무호흡증이 부정맥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미국수면학회(AASM)는 최근 성명을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이 부정맥 치료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전극도자절제술(catheter ablation)이나 정기충격요법(cardioversion) 이후에도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의 재발 위험이 높아지거나, 항부정맥제의 치료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에 따라 부정맥 환자에게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를 통한 수면 질 평가가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수면장애를 넘어서 심장 전기생리 이상과의 밀접한 연관성이 다수의 연구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가장 주목할 점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부정맥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는 사실이다. 수면 중 반복되는 무호흡과 저산소증, 교감신경계의 항진은 심장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그 결과 심방세동뿐 아니라 서맥, 심실성 부정맥 등 다양한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부정맥이 수면 중 발생하거나 야간 시간대에 악화되는 경우, 환자가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심전도, 호흡, 산소포화도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수면다원검사는 원인 파악과 진단에 매우 유효하다.

한진규 전문의는  “부정맥과 수면무호흡은 단순히 동반되는 질환이 아니라, 서로를 악화시키는 연쇄적 메커니즘의 관계에 있다”라며, “수면다원검사는 단순 진단 검사를 넘어 부정맥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재발과 심각한 합병증을 막기 위한 핵심적 도구”라고 강조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속적 기도양압술(CPAP) 치료는 수면무호흡 증상 개선뿐만 아니라 심방세동과 심실성 부정맥의 발생률 감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혈압과 부정맥을 동시에 가진 환자, 야간 심정지 병력이 있는 환자, 심박조율기 착용 환자 등 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수면무호흡이 대부분 자각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환자는 단순히 피곤하거나 밤중 심장 두근거림만 느낄 수 있어 정확한 진단 없이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수면다원검사는 이 같은 무증상성 수면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한진규 원장은 “수면무호흡증이 지속되면 심장에 무리를 주게 되며, 이는 부정맥 치료의 안정성과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특히 페이스메이커를 착용한 환자에서 수면 중 이상 반응이 발생하는 사례도 있어 정밀 진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심장 건강, 정확히 알고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천세종병원(병원장 이명묵) 장덕현 과장(심장내과)은 “증상이 없는데 건강검진에서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를 들으면 당황하기 마련”이라며 “심장에 문제가 있음에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있는 만큼, 건강검진 결과 ‘심장 이상 소견’이라고 나왔다면 속히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12일 이같이 밝혔다. 건강검진에서 발견하는 심장 이상은 대표적으로 ▲혈압 이상 ▲흉부 방사선 이상(X-ray 촬영 후 심장이 커져 있는 것을 발견) ▲심전도 이상 ▲관상동맥(심장동맥) 칼슘 컴퓨터단층촬영(CT) 이상 등이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 같은 심장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심장내과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문제는 괜찮은 건지, 정밀검사가 필요한 건지 환자가 헷갈려 한다는 것이다. 망설이다 보면 결과적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늦어지게 되고, 심하게는 제때 치료할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반대로 정밀검사 후 정상으로 결과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상 소견이 나왔다면, 조건 없이 심장내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이유다. ■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