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학부모 65% “소아근시, 이름만 알았다”

자녀의 소아근시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소아근시 헬스케어 기업 쿠퍼비전 코리아가 소아근시 인식 캠페인 ‘비전서클’에 참여한 학부모 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5%가 “질환 이름만 들어봤다”거나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비전코리아는 이번 조사 결과가 소아근시가 단순한 시력 저하가 아닌 진행성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조기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자녀의 소아근시를 “현재 관리하지 않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36.4%에 달했다. 일부 학부모는 “아이가 불편을 호소하지 않아 괜찮은 줄 알았다”, “근시는 한 번 생기면 되돌릴 수 없다는 사실을 몰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상윤 이을안과 원장은 “소아근시는 성장과 함께 진행되므로 조기 개입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만 7~10세는 근시 관리의 골든타임으로, 시기를 놓치면 고도근시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름방학은 새로운 관리법에 적응할 여유가 있는 시기”라며, 당일 검사 후 착용해볼 수 있는 일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 등도 조기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망막 질환 진단과 치료, 이게 가능?...콘택트렌즈에 OLED 접목, 망막에 무선으로 빛 자극 전달만 하면 진단 끝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팀(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유승협 교수, POSTECH 한세광 교수, ㈜ PHI 바이오메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세계 최초의 무선 콘택트렌즈 기반 웨어러블 망막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별도의 장비 없이 렌즈 착용만으로도 망막전위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기존 복잡한 안과 진단 환경을 획기적으로 간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망막전위도(Electroretinography, ERG)는 망막의 기능을 확인하는 안과 진단법으로, 망막이 빛 자극에 반응해 만들어내는 전기 신호를 측정한다. 이 검사법은 유전성 망막질환 진단, 백내장 등 수술 전 예후 평가 등 다양한 안과 검사에 활용된다. 기존 ERG는 고정형 대형 ERG 검사기 장비를 이용해 어두운 방안에서 환자가 눈을 뜨고 정지한 상태로 검사를 받는 형태였다. 이는 공간적 제약과 환자 피로도 상승 등 다양한 문제를 수반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공동 연구팀은 착용형 무선 OLED 콘택트렌즈 기반의 새로운 빛 자극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연구를 실시했다. OLED는 면 전체에서 빛을 발산하는 표면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