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이나 호르몬 검사 결과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자료다. 하지만 검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환자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유신애 교수가 일산·상계백병원 교수들과 함께 호르몬 검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델타체크(Delta check, DC)’ 기준을 새롭게 마련했다.
‘델타체크’란 같은 환자의 과거 검사 결과와 현재 결과를 비교해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변했을 때 오류 가능성을 확인하는 절차다. 예를 들어 검체가 바뀌었거나 기계적 오류가 생겼을 때, 델타체크를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혈액학 검사나 일반 화학검사에 대한 델타체크 기준만 있었고, 호르몬 검사는 명확한 기준이 없어 병원마다 자체 기준을 적용해왔다.
연구팀은 먼저 갑상선 기능검사(TSH, Free T4, Total T3) 데이터를 분석해 환자 집단(건강검진, 입원환자, 외래환자 등)별로 적합한 델타체크 기준을 마련했다. 이 성과는 SCI급 국제학술지 Clinica Chimica Acta(IF 2.9)에 실렸다.
이어 연구팀은 ACTH, 코르티솔, 부갑상선호르몬(PTH), 프로락틴, 인슐린, 테스토스테론, 티로글로불린(Tg) 등 7종의 주요 호르몬을 추가로 분석해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일부 호르몬(코르티솔, PTH, 프로락틴)은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었으나, ACTH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에 따라 다른 기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최근 SCI급 국제학술지 Biochemia Medica(IF 2.7)에 게재됐다.
유신애 교수는 “호르몬은 작은 수치 변화도 임상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며 “이번 연구에서 마련한 델타체크 기준은 검사 오류를 줄이고 환자 안전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인공지능(AI)을 접목해 검사 오류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호르몬 검사에서 표준화된 델타체크 기준을 제시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팀은 “앞으로 환자들이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검사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