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 3 년만에 상담 71 만 건 → 9,500 건 급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 ( 더불어민주당 , 부천시 갑 ) 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MHIS)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정신건강사례관리 실적이 최근 3 년 새 사실상 ‘ 제로 수준 ’ 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지적된 입력 누락과 데이터 미활용 문제가 구조적으로 방치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MHIS: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은 2018 년부터 전국 광역 ·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 중독통합지원센터 , 자살예방센터 등이 사용하는 국가 정신건강 통합관리시스템으로 환자 초기상담부터 등록 , 사례관리 , 퇴록 , 타기관 연계 , 재등록까지 모든 상담 지원 과정을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

 

연도별로 보면 , 전국 정신건강사례관리 실적은 2022 년 71 만 3,219 건에서 2024 년 9,505 건으로 약 98% 급감했다 . 17 개 시도 중 전북이 91.65% 감소했고 , 전북을 제외한 16 개 시도는 모두 97% 이상 감소했다 . 감소율은 울산이 99.96% 로 가장 높았고 , 대구 (99.93%), 전남 (99.91%), 광주 (99.89%) 순으로 뒤를 이었다 . 울산은 입력건수가 7 건에 불과했으며 울산 외에도 대구 (12 건 ), 광주 (13 건 ), 제주 (17 건 ), 세종 (29 건 ), 전남 (49 건 ) 은 입력건수가 두 자리에 불과했다 .

 

한편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수행한 연구보고서 (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MHIS) 현황분석 및 데이터 활용방안 ) 에 따르면 시스템의 입력체계가 중증정신질환자 상담 중심으로만 설계되어 자살예방 · 중독 · 위기개입 등 복합사례를 반영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특히 AMIS( 국가입퇴원관리시스템 ), 행복 e 음과의 연계율이 낮아 지역 간 정보공유와 위기대응이 단절된 상태이며 , 실무자 492 명 대상 설문에서도 “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

 

또한 해당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매뉴얼상 MHIS 는 ‘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사실을 소속 직원 이 직접 기록해야 한다 ’ 는 원칙을 두고 있으나 인력 공백 , 시스템 불안정 , 교육 미비로 인해 다수 기관이 엑셀 수기 관리나 병행 입력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 접수상담 미등록 원인 ’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대상자 부담감 , 행정절차 복잡성 , 타기관 연계 부재를 이유로 꼽은 것으로 확인됐다 .

 

서 의원은 “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은 국가 정신건강정책의 기초 데이터이자 위기대응의 출발점인데 윤석열 정부 당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 ” 이라 지적했다 . 이어 “ 복지부는 전수점검과 함께 시스템 개편 , 인력 확충 , 타 기관 연계 강화 등 근본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분당서울대병원, 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전원 공백 해소 협력 방안 논의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10월 17일 병원 대강당에서 「2025년 분당서울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네트워크 구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산모·신생아 안전분만 네트워크’를 주제로 열렸으며, 지역 간 의료 인프라 격차로 인한 진료·전원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권역 단위의 실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통계로 본 경기도 내 고위험산모신생아 진료 현황(이희영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분당서울대병원 임상예방의학센터장) ▲고위험산모신생아 치료 인프라 확충과 미래(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영화 교수) ▲권역 고위험산모신생아 전원 네트워크 사업(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정다은 교수) ▲고위험산모신생아 모바일 전원 시스템 구축 사례(김용혁 에이식스티 대표이사)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후 토론 세션에서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기도 보건건강국, 분당서울대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등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권역과 지역 간 협력 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내 고위험 산모·신생아의 안전한 진료·전원 체계 시스템을 통합하고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