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엠써클, 스마트폰 주치의 ‘엠하이닥’ 아이폰 iOS 출시!

엠하이닥 iOS 출시기념 게릴라 이벤트 상시 운영

나와 내 가족의 스마트한 건강관리를 돕는 스마트폰 주치의 ‘엠하이닥’이 안드로이드에 이어 iOS버전도 출시됐다. 이에 6월 27일부터 아이폰 이용자들도 ‘엠하이닥’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출시 첫 주 만에 구글 플레이 마켓의 건강/운동 카테고리 신규 인기 앱에서 1위를 차지해 화제가 됐던 ‘엠하이닥’은 스마트폰 하나로 의사와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주목 받고 있다.

엠하이닥의 주기능으로는 ▲상담을 원하는 의사와의 1:1 상담 ▲진료예약 ▲지역별, 진료과별, 질병, 증상별, 테마별 등 차별화된 의사 검색 서비스 ▲맞춤형 건강 콘텐츠 메일링 ▲처방전과 초음파 사진 등 건강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헬스포토 다이어리 기능 등이 있다.

엠하이닥을 사용해 본 네티즌들은 “이제 더 이상 병원에서 기다리는 시간낭비는 없을 것 같고 병원 가기 전 상담도 미리 받아볼 수 있어 합리적이고 유용한 어플이네요”, “위치기반으로 의사를 추천해주는 것이 좋고, 직접 상담하기 민망하거나 시간이 부족할 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개인의 질병이나 증상에 따라 동네 병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 간편해요”라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엠하이닥은 어플리케이션 출시 기념 통큰 이벤트(http://www.mhidoc.co.kr/event/Event20130617)를 진행 중이다. 7월 8일까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회원가입, 페이스북/트위터 등 SNS에 이벤트 페이지를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100만원의 힐링 여행 지원금, 3,000개의 기프티콘 등 다양한 경품을 증정한다.

또한, iOS 출시를 기념해 게릴라 이벤트를 상시 진행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엠하이닥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MHidoc)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 감염병 실험실 운영 표준, 글로벌 확산 첫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표준운영지침」(이하 「표준운영지침」) 및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인정요건」(이하 「인정요건」) 국문판과 영문판을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감염병 진단검사 실험실의 표준 운영체계를 널리 알려, 국제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첫걸음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019년,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인정체계’를 도입하여 표준체계 운영 역량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실험실을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로 인정해왔다. 이러한 표준체계에 기반한 실험실 운영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신속한 표준검사법 확보 등 위기 대응의 근간이 되었다. 이번에 공개된 「표준운영지침」은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면서, 검사 질 관리, 위기 대응 등 공공 실험실의 특성을 반영했다. 특히, 검사의뢰부터 결과 회신까지의 모든 검사 과정에 대한 절차와 기준을 정하고,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비, 인력, 환경 등의 실험실 운영 전반에 대한 관리 기준과 절차도 체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정요건」은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운영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이는 질병관리청에서 표준실험실 인정을 위한 평가 기준으로 사용된다. 지침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난치성 이상운동질환, 새 치료 길 열려..."뇌심부자극기 이식 환자, 고집적 초음파 수술 가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사진)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뇌심부자극기를 제거하지 않고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해 무도증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무도증은 얼굴, 팔, 다리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갑작스럽고 불규칙한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증 이상운동질환이다. 유전성 신경질환이나 고혈당에 의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악물 치료로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해 치료를 시도하지만 뇌심부자극수술에도 반응이 없는 난치성 무도증 환자의 경우 다른 치료의 대안이 없었다. 최근, 고집적 초음파 수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무도증 환자에서 수술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체내 이식된 뇌심부자극기의 금속 전극이 MRI 영상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초음파 에너지 전달을 방해해 전극이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 초음파 수술을 시도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 여겨져 왔다. 장진우 교수팀은 2년 전 담창구(Globus Pallidus)에 미국 대학병원에서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했으나 치료 효과가 없었던 69세 무도증 남성 환자에게 뇌심부자극기의 제거 없이 이차 수술로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했다.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