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근당, 3분기 소비자 관심도 1위...2위는?

종근당이 올 3분기 국내 주요 제약사 가운데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약품과 일동제약이 뒤를 이었다.

28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 및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국내 주요 10개 제약사의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로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종근당 △한미약품 △일동제약 △동국제약 △동아제약 △GC녹십자 △광동제약 △JW중외제약 △제일약품 △하나제약 등이다.

분석 결과, 종근당이 올해 3분기 3만 8827건의 포스팅 수로 제약사 중 1위를 기록했다.

지난 9월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종근당의 벨더웰 아이벨타민에 대해 “종근당은 이미 수많은 소비자들에게 선택받는 국내 1등 제약사라 더욱 신뢰하고 섭취 가능하다”며, “편식하는 아이에게 영양을 전하기 위해 맛있게 먹여줄 수 있는 영양제”라고 강조했다.

같은 달 인스타그램 한 유저는 종근당의 우리아이 데일리 성장 부스터에 대해 “탱글하고 냉장고에 넣고 주면 아이들이 더 맛있다고 잘 먹는다”며, “아이들이 2포씩 꼬박꼬박 냉장고 열어서 알아서 챙겨먹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인스타그램 한 유저는 종근당의 아미코어 프로틴샷에 대해 “분해가 필요없는 아미노산 타입이라 흡수도 빠르다”며, “운동 후 흡수빠른 아미코어 프로틴샷을 매일 챙기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이 2만 7311건으로 정보량 2위를 차지했다.

지난 9월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한미의 텐텐 츄정에 대해 “약보다는 간식처럼 느껴져서 아이들이 복용을 거부하지 않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같은 달 네이버의 다른 블로거는 한미 목앤 스프레이에 대해 “염증 완화에 도움 주는 성분과 항균 작용을 통해 구강 내 세균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어 염증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일동제약이 2만 5176건으로 3위에 자리매김했다.

지난 9월 네이버 한 블로거는 일동제약의 후디스 비오타민에 대해 “수많은 사용자들이 이 제품의 효과를 인정하고 추천한다”며, “장 트러블이 사라지거나 소화가 바로 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동국제약(1만 9221건), 동아제약(1만 8759건), GC녹십자(1만 3116건), 광동제약(1만 1130건), JW중외제약(7171건), 제일약품(3388건), 하나제약(787건) 순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지난 7~9월 조사대상 전체 제약사의 포스팅 수는 총 16만 4886건으로 전년 대비 2만 99건, 10.87% 줄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 부채표 가송재단(이사장 윤도준, 동화약품 회장)과 대한약학회(회장 김형식, 성균관대 약대 교수)는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를 ‘제18회 윤광열 약학상’ 수상자로 권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10월 23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만찬행사에서 진행됐다. ‘윤광열 약학공로상’은 10년 이상 국민 건강 증진에 헌신하고, 국내 약학 발전에 큰 공로를 세운 대한약학회 회원에게 수여되며, ‘윤광열 약학상’은 국내 약계의 학술 발전에 기여하고 10년 이상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룬 회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심창구 교수는 2005~2008년 대한약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약학의 국제화와 학문적 성장에 크게 이바지했다. 또한 2005~2011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약사시험위원장으로 재직하며 약사 국가고시 제도 개선에 힘쓰는 등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 심 교수는 약물동태학, 생물약제학, 약물송달학 등 약제학의 세 핵심 분야를 국내에 정립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국내 최초로 관련 교과서를 집필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