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0.0℃
  • 맑음강릉 5.8℃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2.8℃
  • 구름많음대구 6.1℃
  • 구름많음울산 7.6℃
  • 구름많음광주 6.4℃
  • 구름많음부산 8.7℃
  • 흐림고창 6.3℃
  • 흐림제주 10.4℃
  • 맑음강화 1.0℃
  • 맑음보은 1.8℃
  • 구름조금금산 3.0℃
  • 흐림강진군 7.0℃
  • 흐림경주시 7.1℃
  • 구름많음거제 9.4℃
기상청 제공

기타

컴배트, 바퀴벌레 살충제 판매량 급증...왜?

10월~11월 성충기로 접어들며 출몰 증가… 베이트·에어로졸·겔 등으로 동선별 관리 권장

바퀴벌레 살충제 브랜드 컴배트는 올해 1~10월 자사 살충제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1%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컴배트는 지난 몇 년간 기후 변화와 생활환경 변화로 바퀴벌레 개체 수가 증가했고, 최근 기온 하락으로 따뜻한 실내로의 유입이 많아지면서 살충제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실내 난방이 시작되며 바퀴벌레가 활동하기 적정한 온도(약 20~30℃)가 유지되자 바퀴벌레의 실내 유입이 증가했다. 여기에 택배 상자, 하수구,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실내로 침입하는 사례가 늘면서 출몰 빈도가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바퀴벌레 출몰이 잦아지자 살충제를 찾는 소비자도 늘어나며 판매량 증가로 이어졌다. 제품별로는 스테이션에 독이 든 먹이가 들어있어 위생적이고 관리가 편리한 설치형 제품인 컴배트 베이트 타입부터 발견 시 즉각 살충이 가능한 에어로졸 타입의 판매량이 고르게 증가했다. 또 지난 8월 출시한 ‘컴배트 맥스 겔’ 대용량은 합리적인 용량과 가격으로 식당, 창고, 아파트 등 넓은 공간에서도 여유 있게 사용할 수 있어 판매 확대에 기여했다.

컴배트 관계자는 “해가 갈수록 바퀴벌레 문제로 불편을 호소하는 소비자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바퀴벌레는 택배 상자, 하수구 등 다양한 경로로 실내에 유입되는 만큼 공간별 관리가 필요하다”며 “철저한 위생관리와 더불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하면 보다 확실한 방제와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손끝 저린 증상 나타나고 팔다리 감각 동시에 둔해지며 걸음걸이 휘청...'이 질환' 의심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김태훈 교수는 ‘경추 척수증Cervical Myelopathy)’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증상이 있다면 단순 노화로 치부하지 말고 빠르게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손끝이 저린 증상이 나타나면 대부분 목 디스크나 단순 노화로 여기기 쉽지만 팔다리 감각이 동시에 둔해지고 걸음걸이가 휘청거리는 증상이라면 경추 척수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경추 척수증은 목뼈(경추) 안에 위치한 신경 다발인 척수가 압박을 받아 손상되는 중증질환이다. 이 질환은 뇌졸중(중풍)처럼 심각한 마비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목 중풍’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인 목 디스크는 신경 뿌리 하나에 문제를 일으키지만, 척수증은 척수신경 다발 전체가 눌리기 때문에 광범위한 손상을 초래한다. 김태훈 교수는 “척수는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회복 불가능한 마비를 남길 수 있다”며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목 디스크와 다르다… 손끝·발끝이 동시에 보내는 ‘어눌함’ 신호 경추척수증은 일반적인 목 디스크 환자가 겪는 ‘팔만 저린 증상’과는 양상이 다르다. 김태훈 교수는 “목 디스크가 톨게이트에서 사고가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