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飛馬의 氣..의.약계에 흘러 흘러 해밀한 한해 되었으면..

의협-복지부,제약계-복지부 기싸움 접고 서로 배려하는 마음 가진다면 원료진료나 시장형실사입가제 문제 해결 가능

지난해는 의료계는 물론 약업계 모두 힘든 한해였습니다.

원격진료 허용서 시작된 정부와 의료계의 힘겨루기는 아직도 진행중이며,시간이 지날수록 더 격해지는 양상입니다.

제약업계도 어렵기는 마찬가진가 봅니다.

시장형실사입가제의 시행을 놓고 보건복지부와 제약업계간 신경전으로 약업계가 뒤숭숭 합니다.

이유는 뭘까요?

어떤이는 집단이기주의로 진단하는가 하면,또다른이는 약자의 몸부림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런 수다한 일들이 구름 흐르듯 흘러  한해의 꼭지 점에서 마음을 비우고 경건 된 자세로
의료계 및 약업계의 현안들을 들여다보면 해결이 난공불락 처럼 여겨지지 않습니다.

어떤 때에는 밑지고 본전마저 잃었다 생각하는 고된 마음도,홀로 있어 쓸쓸함이 동지섣달 찢어진 바람구멍 마냥 차갑게 느껴지는 인정사정없던 시간도, 지나고 보면 후회와 허무로 남게됩니다.

이처럼 시간이 지나고 보면 별일 아닌 일일수도 있는 문제를 놓고 아옹다옹하지 말고 이제부터라도 서로의 입장에서 한발짝씩 물러나 생각하고, 격려해주는 값진 기회를 만들어 보았으면 합니다. 

이제 현안들은 떠나간 이의 마지막 눈물처럼 지우고, 새롭게 맞이하는 새해에는 정쟁 보다는 함께 고뇌하고 대화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면 어떨까요?

아울러 의료계,약업계 모두 마음속에 응어리진 사연은 계사년 12월의 바람에 날려 보내고 새로운 해의 소망을 담아 정진하는 한해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말의 기상 처럼 갑오년 새해는 의료계는 물론 제약업계에도 좋은 일만 가득했으면 하는 바램도 함께 가져봅니다.

                                                                                                        편집인 노재영


작가소개

남보(南甫) 유시종(劉始鍾)

남보 유시종화백(사진)은 어릴 때부터 미술에 재질을 보여 초등학교부터 미술특기생으로 뽑혀 중고등학교, 대학에 이르기까지 수업료 없이 학업을 마쳤다. 남보는 동양화의 거장인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화백으로부터 사사했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을 나온 그는 선린상업고등학교 미술교사를 역임했으며, 한국화대상전 국회문공위원장상을 수상했다. 일본기류신문사 초대전을 비롯 11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한국미술협회 자문위원으로 있는 그는 현대서화전 심사위원 등 각종 미술공모전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현대인물사에 등재되기도 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 감염병 실험실 운영 표준, 글로벌 확산 첫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표준운영지침」(이하 「표준운영지침」) 및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인정요건」(이하 「인정요건」) 국문판과 영문판을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감염병 진단검사 실험실의 표준 운영체계를 널리 알려, 국제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첫걸음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019년,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인정체계’를 도입하여 표준체계 운영 역량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실험실을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로 인정해왔다. 이러한 표준체계에 기반한 실험실 운영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신속한 표준검사법 확보 등 위기 대응의 근간이 되었다. 이번에 공개된 「표준운영지침」은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면서, 검사 질 관리, 위기 대응 등 공공 실험실의 특성을 반영했다. 특히, 검사의뢰부터 결과 회신까지의 모든 검사 과정에 대한 절차와 기준을 정하고,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비, 인력, 환경 등의 실험실 운영 전반에 대한 관리 기준과 절차도 체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정요건」은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운영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이는 질병관리청에서 표준실험실 인정을 위한 평가 기준으로 사용된다. 지침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난치성 이상운동질환, 새 치료 길 열려..."뇌심부자극기 이식 환자, 고집적 초음파 수술 가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사진)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뇌심부자극기를 제거하지 않고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해 무도증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무도증은 얼굴, 팔, 다리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갑작스럽고 불규칙한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증 이상운동질환이다. 유전성 신경질환이나 고혈당에 의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악물 치료로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해 치료를 시도하지만 뇌심부자극수술에도 반응이 없는 난치성 무도증 환자의 경우 다른 치료의 대안이 없었다. 최근, 고집적 초음파 수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무도증 환자에서 수술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체내 이식된 뇌심부자극기의 금속 전극이 MRI 영상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초음파 에너지 전달을 방해해 전극이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 초음파 수술을 시도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 여겨져 왔다. 장진우 교수팀은 2년 전 담창구(Globus Pallidus)에 미국 대학병원에서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했으나 치료 효과가 없었던 69세 무도증 남성 환자에게 뇌심부자극기의 제거 없이 이차 수술로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했다.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