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덥다고 맨발…여름철 당뇨발 부른다”

젊은층, 여성일수록, 당뇨병 오래 앓을 수록 여름철 족부질환 경험 가능성 높아

당뇨병 환자 10명 중 1명 꼴로 여름철에 족부질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박성우,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가 파란양말캠페인의 일환으로 전국 당뇨병센터와 내분비내과 병•의원 및 보건소 520곳에서 4,284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여름철 발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당뇨병 환자 중 14%(601명)가 여름철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발에 상처를 입거나 상처가 악화되는 경험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는 혈관장애로 인해 충분한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가벼운 상처로도 족부궤양 등 심하면 절단까지 하게 되는 이른바 당뇨발에 이를 수 있다. 게다가 여름철에는 온도가 높고 습해 세균 감염이 더 쉽게 일어나 위험하다.

 

■ 젊을수록, 여성에서 위험 더 높아

특히 20대에서 이러한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 위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률은 11%~15% 정도로 고르게 나타난 반면, 20대는 약 27%로 다른 연령층보다 평균 13% 정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젊은 층에서 이렇게 여름철 족부질환 경험이 높은 이유는 이들 중 3분의 1 가량이 평소에 양말을 신지 않거나, 신더라도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한 양말인지 고려하지 않고 아무거나 착용하는 등 다른 연령층에 비해 발 관리에 소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률이 2% 더 높았다. 이는 여성 환자들의 경우 평소에 양말을 잘 신지 않거나 신더라도 적합한 양말이 아닌 경우가 더 많고, 신발 역시 발 보호에 적합하지 않은 신발을 주로 신기 때문으로 보인다. 남성 환자는 여름에도 주로 운동화를 신었지만(36.2%), 여성 환자는 주로 슬리퍼(26.7%)나 샌들(24.8%)을 신었다.

또,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길수록 여름철 족부질환 유경험률이 높았다.

아울러, 만성 고혈당으로 인해 신경이 손상을 받았거나 신경의 비정상적인 기능 때문에 생기는 만성적인 통증인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환자에서 여름철 족부질환 경험비율은 24.5%로,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이들에서의 족부질환 경험비율 9.7% 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이들이 여름 동안 족부 질환을 경험한 것은 주로 일상생활 중(32.9%)이었으며 집안에서 맨발로 생활하다 상처가 났거나(8.2%)가 계곡에서 물놀이 중 (5.3%), 해변 등에서 맨발로 돌아다니다가 상처가 난 경우도(2.5%)  있었다.


■ 맨발, 발 안 씻는 습관, 무좀 이 당뇨병 환자의 여름철 족부질환 위험 높여

여름철 당뇨병 환자에서 족부질환 발생을 야기하는 주 원인으로는 맨발, 미비한 세족 습관, 무좀 병력으로 꼽혔다.

실내에서만 양말을 신는 이들의 여름철 족부질환 유경험률은 25.6%로, 양말을 실내 외에서 모두 잘 신는 이들의 14.2%에 비해 높았다

발을 대충 씻거나(17.4%) 보통으로 씻고 닦는 이들(16.4%)가 발을 잘 씻는 이들(13.0%)에 비해 여름철 족부질환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 당뇨병 환자의 무좀 유병률은 52.6%로 조사됐는데, 이는 흔히 알려진 국내 무좀 유병률 36.5%에 비해 높다.  그런데 여름철에 무좀이 생긴 적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여름철에 족부질환 경험률은17.3%로 무좀이 생긴 적이 없는 집단의 10.4%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있는 경우 더워도 양말 챙겨 신는 등 발 보호해야

대한당뇨병학회 김성래 홍보이사(가톨릭의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는 “여름에 특히 발이 화끈거리는 증상으로 양말을 벗어 던지고 슬리퍼 등을 신고 생활하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서는 자신도 모르게 발에 상처가 생겨 심각한 족부질환으로 이환 될 우려가 있다.

덥더라도 발을 잘 씻고 땀이 잘 흡수되는 양말을 신어 외부 자극과 무좀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뇨병성 신경병증 증상이 있는 환자는 주치의와 상의해 적극적으로 치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 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 결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들은 ‘저릿저릿하다(29.4%)’거나, ‘따끔따끔 찌르듯이 아프다(12.8%)’거나 ‘발이 무감각해지는 것 같다(12%)’는 증상 외에도 더위에 매우 취약한 증상으로 ‘발이 화끈거려서 열대야 같은 때에 잠에서 잘 깬다(10.3%)’는 증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

아울러, 조사에 참여한 환자의 86%(3,763명)가 당뇨병성 신경병증 증상을 갖고 있었지만 실제로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 비율은 전체의 19%(801명)에 그쳐 당뇨병성 신경병증 인식 증강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유병률은 33%로 당뇨병 환자 3 명중 1명에서 나타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대웅제약 판매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복용하고..."간염 증상" 호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간기능 관련한 이상사례*(2건)가 발생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로 만든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건강기능식품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해당 제품을 회수 조치하고,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의 ‘섭취시 주의사항’(「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에 ‘드물게 간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섭취 기간 중 알코올 섭취를 피해야 한다’는 소비자 안내 사항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상사례 발생 보고(8.25, 8.27. 각각 신고)에 따르면 해당 제품을 섭취한 서로 다른 2명에게 유사한 간염 증상이 발생했고, 이에 식약처는 8월 28일 영업자에게 해당 제품 잠정 판매중단 권고를 하였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과 사용된 원료를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기준․규격에 부적합한 항목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건강기능식품심의위원회에서 이상사례와 해당 제품과의 인과관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소비자 위해 우려가 있다는 판단을 내림에 따라 소비자의 안심을 위해 9월 23일자로 해당 제품을 회수 조치한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할 것과 체지방 감소 기능성 식품의 과다 섭취나 병용 섭취 시 이상사례 발생 우려가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응급의료법 개정안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제2소위원회 통과 환영 대한의사협회는 23일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제2소위원회에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하 응급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한 것과 관련하여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밝힌다. 지난 2월 모 병원 권역외상센터에서 환자 보호자가 응급의료 종사자에게 폭행을 가한 건으로, 피해자는 응급의료법 위반으로 처벌을 요청했으나 인정되지 않은 바 있다. 또한 지난 2019년 응급의료법이 개정되어 응급의료종사자를 폭행한 경우 가중처벌을 하도록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응급실에서의 폭력이 근절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응급의학회 등 의료계는 가해자에 대한 엄중 처벌과 함께, 현행 응급의료법의 사각지대를 지적하며 응급의료법의 조속한 개정을 촉구한 바 있다. 이에, 동 사안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국회에서도 응급의료 종사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후, 국회 안철수, 이주영 의원이 응급의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였으며, 응급의료 방해금지 행위에 ‘응급환자에 대한 상담을 추가하고, 응급의료종사자 폭행에 대한 처벌 강화’가 주요내용이다. 의협은 응급의료법의 빠른 논의를 통해 응급의료법 개정 논의와 복지위 제2소위 통과를 적극 환영하며, 응급실 폭행으로 인한 의료인의 고충을 이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