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심평원, ‘QI 컨설팅’ 대상기관 모집

자율적 질 향상 활동을 위한 기관별 맞춤 서비스 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4월 3일부터 20일까지(18일간) 의료의 질 향상 활동 지원을 위한 ‘QI(Quality Improvement) 컨설팅’ 대상 8개 기관을 이메일을 통해 모집한다.

 ‘QI컨설팅’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와 관련하여 질 향상이 필요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문제파악 및 개선전략 수립에서 보고서 제출에 이르기까지 자율적인 질 향상 활동의 전 과정을 기관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한다.

 컨설팅 주요 내용으로는 질 향상 활동계획, QI 교육과정 우선제공, 기관 직접 방문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 질 향상 활동 결과에 대한 피드백, 질 향상 활동 결과 보고서 제출 등 질 향상 활동 전 과정이 포함된다.

  

<세부 질향상 컨설팅 추진내용>

소요시간

구성

4월

대상기관 선정, 사전요구도 조사

대상기관 현황 분석

4월

2일과정

(서울)

․QI교육과정 제공

5월

120분

․질향상 활동 계획서 발표

․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질향상 활동 우수사례 공유

6월

1일과정

(지방)

․QI교육과정 제공

8~9월

․참여기관 방문 및 컨설팅

- 중간점검 및 피드백

- 기관별 맞춤형 교육서비스 제공

10월

120분

․질향상 활동 결과 발표 및 피드백

- 질향상 활동 결과발표 평가 및 마무리지원

- 활동보고서 작성방법 자문등

11월

․최종 질향상 활동 결과 보고서 제출


 대상기관 중 질 향상 활동 결과가 우수한 기관은 QI 우수사례 심사를 통해 특별상을 수여하며, 컨설팅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질 향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QI 담당자(또는 적정성평가 담당자)가 있으면서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항목의 질 향상이 필요한 중소병원은 모두 참여할 수 있다. 단, 일부 기관은 동일지역 신청 시 지역단위 통합 지원 대상자로 모집한다.

 신청은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 공지사항’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하여 담당자 이메일(chayoenhee@hiramail.net)로 접수하며 선정된 기관은 향후 계획을 별도로 안내할 예정이다.

 심사평가원은 2011년 4개 기관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2년과 2013년 각각 6개 기관의 ‘QI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지원한 바 있다.


  ※ 문의 : 평가기획실  평가기획부  02) 2182-2208
            담당자 이메일 주소 : chayoenhee@hiramail.net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