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연조직염(L03)’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99만 8천명에서 2013년 약 115만 2천명으로 5년간 약 15만 4천명(15.5%)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3.7%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9년 약 621억원에서 2013년 약 810억원으로 5년간 약 188억원(30.3%)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6.8%로 나타났다.
그림1. <연조직염(L03)>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 (2009년~2013년)
표1. <연조직염(L03)>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
최근 5년간 '연조직염’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48.5%~48.9%, 여성은 51.1%~51.5%로 여성이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연조직염(L03)>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변화율 (2009년~2013년)
구 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연평균 | |
성비(여성대비남성) |
0.95 |
0.95 |
0.96 |
0.95 |
0.94 |
- | |
점유율 |
남 |
48.8% |
48.7% |
48.9% |
48.6% |
48.5% |
- |
여 |
51.2% |
51.3% |
51.1% |
51.4% |
51.5% |
- | |
전년대비 증가율 |
계 |
- |
5.2% |
0.4% |
4.2% |
4.9% |
3.7% |
남 |
- |
4.9% |
0.8% |
3.7% |
4.6% |
3.5% | |
여 |
- |
5.5% |
0.0% |
4.7% |
5.2% |
3.8% |
'연조직염’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50대 구간이 16.2%로 가장 높았고, 40대 14.8%, 30대 12.6%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구간인 20대의 점유율도 10.4%로 크게 차이가 없어 ‘연조직염’의 진료인원은 전 연령층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조직염은 작은 상처에 세균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특정 연령층 구분 없이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표3. <연조직염(L03)>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09년~2013년)
구 분 |
진 료 인 원 (명) |
연 령 별 점 유 율 (%)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0~ 9세 |
계 |
141,379 |
134,771 |
133,499 |
131,622 |
139,471 |
14.2% |
12.8% |
12.7% |
12.0% |
12.1% |
남 |
79,341 |
75,510 |
74,931 |
73,407 |
77,289 |
8.0% |
7.2% |
7.1% |
6.7% |
6.7% | |
여 |
62,038 |
59,261 |
58,568 |
58,215 |
62,182 |
6.2% |
5.6% |
5.6% |
5.3% |
5.4% | |
10~ 19세 |
계 |
120,091 |
126,565 |
127,296 |
129,383 |
130,434 |
12.0% |
12.1% |
12.1% |
11.8% |
11.3% |
남 |
64,735 |
68,239 |
68,459 |
67,760 |
67,649 |
6.5% |
6.5% |
6.5% |
6.2% |
5.9% | |
여 |
55,356 |
58,326 |
58,837 |
61,623 |
62,785 |
5.5% |
5.6% |
5.6% |
5.6% |
5.4% | |
20~ 29세 |
계 |
111,947 |
114,729 |
113,611 |
115,635 |
119,401 |
11.2% |
10.9% |
10.8% |
10.5% |
10.4% |
남 |
52,731 |
54,245 |
54,368 |
55,364 |
57,312 |
5.3% |
5.2% |
5.2% |
5.0% |
5.0% | |
여 |
59,216 |
60,484 |
59,243 |
60,271 |
62,089 |
5.9% |
5.8% |
5.6% |
5.5% |
5.4% | |
30~ 39세 |
계 |
136,749 |
142,586 |
140,028 |
142,353 |
145,406 |
13.7% |
13.6% |
13.3% |
13.0% |
12.6% |
남 |
66,641 |
69,936 |
68,723 |
69,964 |
71,375 |
6.7% |
6.7% |
6.5% |
6.4% |
6.2% | |
여 |
70,108 |
72,650 |
71,305 |
72,389 |
74,031 |
7.0% |
6.9% |
6.8% |
6.6% |
6.4% | |
40~ 49세 |
계 |
155,611 |
163,076 |
160,013 |
166,511 |
171,030 |
15.6% |
15.5% |
15.2% |
15.2% |
14.8% |
남 |
74,101 |
77,963 |
77,068 |
80,637 |
83,087 |
7.4% |
7.4% |
7.3% |
7.3% |
7.2% | |
여 |
81,510 |
85,113 |
82,945 |
85,874 |
87,943 |
8.2% |
8.1% |
7.9% |
7.8% |
7.6% | |
50~ 59세 |
계 |
135,644 |
152,125 |
160,585 |
174,201 |
187,188 |
13.6% |
14.5% |
15.2% |
15.9% |
16.2% |
남 |
62,085 |
69,208 |
73,266 |
79,824 |
85,668 |
6.2% |
6.6% |
7.0% |
7.3% |
7.4% | |
여 |
73,559 |
82,917 |
87,319 |
94,377 |
101,520 |
7.4% |
7.9% |
8.3% |
8.6% |
8.8% | |
60~ 69세 |
계 |
104,946 |
113,751 |
112,610 |
118,338 |
125,580 |
10.5% |
10.8% |
10.7% |
10.8% |
10.9% |
남 |
49,082 |
52,865 |
53,002 |
55,891 |
58,914 |
4.9% |
5.0% |
5.0% |
5.1% |
5.1% | |
여 |
55,864 |
60,886 |
59,608 |
62,447 |
66,666 |
5.6% |
5.8% |
5.7% |
5.7% |
5.8% | |
70세 이상 |
계 |
91,383 |
102,279 |
106,491 |
120,433 |
133,840 |
9.2% |
9.7% |
10.1% |
11.0% |
11.6% |
남 |
38,255 |
42,830 |
45,214 |
51,038 |
57,110 |
3.8% |
4.1% |
4.3% |
4.6% |
5.0% | |
여 |
53,128 |
59,449 |
61,277 |
69,395 |
76,730 |
5.3% |
5.7% |
5.8% |
6.3% |
6.7% |
그림2. <연조직염(L03)> 연령별 성별 진료인원 (2013년)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연조직염’ 진료인원은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7~9월)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8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월별 평균 진료인원은 약 10만 9천명이며, 여름에 평균 이상의 인원이 진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습도가 높아 ‘연조직염’의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알균 등 세균번식이 쉽고, 모기에 물린 부위가 연조직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측된다.
표4. <연조직염(L03)>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09년~2013년)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09년 |
85,813 |
81,486 |
90,580 |
92,266 |
97,480 |
110,188 |
123,769 |
127,981 |
119,490 |
107,336 |
90,873 |
89,993 |
2010년 |
87,555 |
83,704 |
91,737 |
92,354 |
99,857 |
116,313 |
133,109 |
142,535 |
131,514 |
113,118 |
99,395 |
94,028 |
2011년 |
93,318 |
82,791 |
92,857 |
93,891 |
100,951 |
113,616 |
129,384 |
142,748 |
129,838 |
108,071 |
101,836 |
98,652 |
2012년 |
97,717 |
92,154 |
95,719 |
97,324 |
111,897 |
121,257 |
138,212 |
143,304 |
125,772 |
117,876 |
101,389 |
94,638 |
2013년 |
102,048 |
92,938 |
100,071 |
103,918 |
117,621 |
124,989 |
148,517 |
155,888 |
132,443 |
123,411 |
107,042 |
101,807 |
평균 |
93,290 |
86,615 |
94,193 |
95,951 |
105,561 |
117,273 |
134,598 |
142,491 |
127,811 |
113,962 |
100,107 |
95,824 |
※ 월별 진료인원 현황은 요양개시월 기준으로 추후 요양기관 청구에 따라 실적이 달라질 수 있음.
그림3. <연조직염(L03)> 월별 진료인원 추이 (2009~2013년, 5개년 평균 수치)
‘연조직염’을 부위별로 보면 2013년 기준으로 손가락 및 발가락 부위에 발생한 진료인원이 약 31만 6천명(26.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과 발은 감염균과의 접촉이 많은 곳으로 특히 발은 무좀 및 발가락 짓무름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측된다.
표5. <연조직염(L03)> 세부 상병별 진료인원 (2009년~2013년)
코드 |
상병명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L030 |
손가락 및 발가락의 연조직염 |
254,246 |
271,014 |
289,925 |
300,266 |
316,001 |
L031 |
기타 사지 부분의 연조직염 |
247,018 |
263,890 |
253,354 |
267,369 |
281,693 |
L032 |
얼굴의 연조직염 |
144,958 |
149,004 |
149,750 |
151,275 |
152,791 |
L033 |
몸통의 연조직염 |
60,296 |
64,615 |
62,122 |
68,201 |
71,222 |
L038 |
기타 부위의 연조직염 |
105,250 |
109,465 |
110,942 |
120,825 |
132,737 |
L039 |
상세불명의 연조직염 |
215,494 |
226,833 |
225,018 |
230,519 |
241,429 |
‘연조직염’은 피부표면의 작은 상처를 통한 세균 침투로 진피와 피하조직에 일어나는 세균 감염증이며, ‘봉소염’, ‘봉과직염’, ‘봉와직염’이라고도 불린다.
‘연조직염’의 증상은 발생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압통을 동반하며, 질병이 진행되면 물집과 고름이 생긴다. 단순 염증으로 보이나 초기에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피부괴사, 패혈증, 화농관절염, 골수염 등의 합병증과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연조직염’의 치료법은 약물치료로 항생제, 진통소염제, 경구용 스테로이드 등이 사용되나, 초기치료는 반드시 병원 방문을 통해 상황에 맞는 처방을 받도록 하며 질병초기를 제외하고는 입원하여 치료한다.
‘연조직염’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피부손상을 막는 것이며 무좀, 짓무름 등이 있으면 즉시 치료하여 다른 부위로 전염되지 않도록 한다.
모기에 물린 경우 해당 부위를 긁은 후 침을 바르는 행위는 자제한다. 야회활동 후 귀가 시에는 샤워를 통해 몸을 청결히 하며 상처부위는 오염 방지를 위해 완전하게 건조시켜 연고를 도포하고 소독 밴드를 붙여 합병증을 예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