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구름조금동두천 15.5℃
  • 구름많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3℃
  • 구름조금대전 17.0℃
  • 맑음대구 19.7℃
  • 구름조금울산 20.6℃
  • 구름많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2℃
  • 구름조금고창 14.5℃
  • 구름많음제주 17.1℃
  • 구름조금강화 15.5℃
  • 구름많음보은 15.1℃
  • 구름많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6.3℃
  • 구름조금경주시 21.8℃
  • 맑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교통사고 뇌사 남성 전북대병원에 장기기증

간, 폐, 신장 등 4개 장기 기증으로 3명에게 숭고한 새생명 선물

불의의 교통사고로 뇌사판정을 받은 50대 남성이 장기기증을 통해 3명의 숭고한 목숨을 살리고 영면했다.

30일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정성후)에 따르면 뇌사판정을 받은 기봉(50, 전주)씨가 간과 폐, 신장 2개를 기증해 3명에게 새생명을 선물했다.

지난 24일 교통사고로 전북대병원으로 긴급 이송된 기 씨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아오다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뇌사 진단을 받았다.

가족들은 생전에 기증 신청을 해놓지는 않았지만 장기기증에 긍정적이었던 기씨의 유지를 받들어 장기기증을 결정했다. 

기 씨의 부인 정미숙(50) 씨는 “남편이 평소에 장기기증이 생명을 살리는 숭고한 일이라는 말을 자주 했다”면서 “비록 장기기증 서약을 하지는 않았지만 남편의 뜻이라 생각하고 기증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아들 성준(22) 씨도 “쉬운 결정은 아니었지만 착한분이셨고, 생전에 남을 도와주는 것을 좋아하는 분이셨기에 가시는 길에도 좋은 일을 하고 싶어했을 것”이라면서 어머니의 결정을 따랐다.

정 씨는 “아이들이 동참해줘서 마음에 짐을 내려놓는 기분”이라면서 “남편이 평소에 운동을 좋아했고, 건강한 사람이었던 만큼 남편의 장기로 새생명을 받은 분들도 부디 건강하게 잘 살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씨와 성준 군은 특히 꺼져가는 생명에 희망을 선물하고 세상과 하직한 고인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 자신들 역시 장기기증 서약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보이기도 했다.

고인이 기증한 장기 중 신장 1개는 전북대병원에서 이식수술을 마쳤으며, 나머지 신장 1개와 간은 서울 모 대학병원에 폐는 부산의 대학병원에 전달돼  소중한 목숨을 살렸다.

이식수술을 집도한 간담췌이식외과 유희철 교수는 “갑작스럽고 힘든 상황에서도 어려운 결정을 해주신 가족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새 생명을 받은 환자들이 고인과 가족들의 숭고한 뜻을 마음 속 깊이 기억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대병원에서는 올 들어 현재까지 14명의 뇌사기증자를 관리해 간장 13개 신장 26개, 심장 2개 폐2개 등의 장기를 기증해 총 42명의 수혜자에게 기증됐다. 또한 지난 1998년부터 현재까지는 167명의 뇌사기증자를 관리했으며 간이식 80건, 신장이식 388건의 이식실적을 보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용인세브란스병원 "저체온 치료로 생존율 높인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주로 심정지, 뇌졸중 등에 적용하는 저체온 치료는 환자의 체온을 32~36도까지 빠르게 낮춰 일정 기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회복에 따라 점차 정상체온을 되돌리는 치료법이다. 그간 저체온 치료의 효과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심근경색에 의한 심정지가 발생한 중증 환자군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18만여 건의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사례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의식불명 상태 2,92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체온 치료를 받은 집단은 저체온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보다 사망률이 매우 낮았으며(치료군 35.1%, 비치료군 43.3%),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보정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