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구름조금동두천 15.5℃
  • 구름많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3℃
  • 구름조금대전 17.0℃
  • 맑음대구 19.7℃
  • 구름조금울산 20.6℃
  • 구름많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2℃
  • 구름조금고창 14.5℃
  • 구름많음제주 17.1℃
  • 구름조금강화 15.5℃
  • 구름많음보은 15.1℃
  • 구름많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6.3℃
  • 구름조금경주시 21.8℃
  • 맑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워터파크증후군 조심주의보

휴가기간 동안 염좌호소환자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어깨와 목 통증환자들 뒤이어

여름 휴가 성수기가 한창이다. 산과 바다로 휴가를 즐기러 가기도 하지만 요즘에는 가까운 워터파크로 여름 휴가를 보내는 이들도 많다. 다양한 놀이시설과 함께 전국 곳곳에 위치하고 있어 어디를 가더라도 어린이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물놀이 시설이 많아 여름에 꼭 한번은 가볼 만한 장소로 손꼽히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워터파크를 찾아 오랜 시간 서서 기다리고 물놀이 및 놀이 기구를 타다보면 찰과상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흔히 '발목을 삐었다'는 사람들이 많다.

척추&관절 통증질환 특화 용인분당예스병원은 지난해 휴가철의 성수기인 7월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여름 휴가에 생긴 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분석한 결과 방문환자 328명 중 염좌(손목, 발목포함)를 호소환 환자는 154명으로 47%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그뒤를 이어 목과 어깨 통증으로 방문한 환자가 132명으로 40%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워터파크 및 수영장에서 염좌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바로 미끄러운 바닥으로 인해 넘어지면서 발목 및 손목을 삐끗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수영장이나 워터파크의 높은곳에서 떨어지는 물을 맞으려고 밑에서 기다리는 경우에도 목에 통증이 있거나 질환이 있다면 피하는 것이 좋다. 다량의 물이 목과 경추에 상당한 충격을 주기 때문.

염좌는 발목 및 손목을 삐끗했을 때 나타나는 질환으로, 뼈 주위 인대 중 하나가 늘어나거나 파열되었을 때 통증과 함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인대가 늘어나 있는 상태가 지속되어 상습적으로 발목을 삐끗하게 되는 '발목불안정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 발목 인대가 손상된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인대가 약해져 발목 연골까지 손상되는 발목관절염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관절 통증질환 특화 용인분당예스병원의 도현우원장은 “물놀이 중 발목을 삐끗했다면 일단 발목 주변을 냉찜찔 해주는 것이 붓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며 “발목염좌 초기라면 약물요법과 찜질, 압박 붕대 같은 보존적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연골 손상이 있다면 수술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며 최근에는 자기 연골을 보존해 회복이 빠르면서도 최소 부위만 절개하는 관절내시경 수술이 회복이 빠르고 가장 적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도현우원장은 “워터파크에서 미끄러져 발목염좌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며 "물놀이를 하기 전에는 스트레칭을 통해서 발목 관절의 긴장을 풀고, 맨발 혹은 슬리퍼로 다니기보다는 미끄럼 방지 고무재질로 된 아쿠아슈즈를 신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위처럼 관절에 대한 걱정도 많지만 피부 질환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워터파크 및 수영장에 다녀와서 모기 물린것처럼 오돌오돌 올라오거나 한다면 피부병을 의심해봐야한다. 보통 당일 또는 1~2주의 잠복기 이후 증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오돌오돌 올라온 후 간지러울 경우 피부병을 의심하고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피부발진이 나타나고 피부가 가렵고 울퉁불퉁해지며 짓무름이 생길 수 있으며, 피부질환 뿐만 아니라 설사와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겠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용인세브란스병원 "저체온 치료로 생존율 높인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주로 심정지, 뇌졸중 등에 적용하는 저체온 치료는 환자의 체온을 32~36도까지 빠르게 낮춰 일정 기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회복에 따라 점차 정상체온을 되돌리는 치료법이다. 그간 저체온 치료의 효과에 대해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심근경색에 의한 심정지가 발생한 중증 환자군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18만여 건의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사례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의식불명 상태 2,92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체온 치료를 받은 집단은 저체온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보다 사망률이 매우 낮았으며(치료군 35.1%, 비치료군 43.3%),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보정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