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및 시·도(시․군․구)와 협업하여 여름철에 출하되는 농산물의 주요 생산․유통단계에서 총 562건에 대해 잔류농약, 중금속(납, 카드뮴) 등을 검사한 결과 모두 잔류허용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요생산지 생산 및 유통 농산물 안전성 조사․검사 현황
(단위: 건)
계 |
품 목 별 |
비고 | |||||||||||
고추 |
참외 |
토마토 |
마늘 |
양파 |
복분자 |
보리 |
포도 |
복숭아 |
시금치 |
딸기 |
오이 | ||
562 |
104 |
103 |
91 |
48 |
47 |
41 |
27 |
24 |
23 |
20 |
20 |
14 |
|
이번 검사는 농산물에 대하여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한 선제적 안전관리의 일환으로 실시하였으며 생산지별 농산물 안전성조사는 각 시․도(시․군․구) 및 농림축산식품부(농산물품질관리원)와 협업하여 진행하였고, 유통 농산물 수거·검사는 지방 식약청 및 시․도(시․군․구)를 통해 추진하였다.
구체적인 조사대상은 계절별 수확시기를 고려하여 주요 농산물 중 각 시․도 지역특화품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품목과 지역은 ▲전남 무안 양파(전국 생산량 16.4% 차지) ▲경북 성주․칠곡 참외(전국 생산량 34.3% 차지) ▲전북 남원․경북 김천 포도(전국 생산량14.7% 차지) ▲전북 고창․순창 복분자(전국 생산량36.7% 차지) 등 20개 생산지역 12개 품목이다. 이들 지역에서 생산·출하된 12개 농산물은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품목별 전국대비 생산지역 생산량
(단위: t, %)
품목 (12) |
검사건수 (562) |
생산지역 (5도 20시․군 ) |
전국대비 비율(%) |
전국 생산량 (t) |
생산지 생산량(t) |
비고 |
참외 |
103 |
경북 성주·칠곡 |
34.3 |
186,693 |
64,081 |
|
복분자 |
41 |
전북 고창․순창 |
36.7 |
11,398 |
4,183 |
|
양파 |
47 |
전남 무안 |
16.4 |
1,195,737 |
195,794 |
|
포도 |
24 |
전북 남원 , 경북 김천 |
14.7 |
277,917 |
40,749 |
|
보리 |
27 |
전북 군산 |
14.4 |
94,231 |
13,569 |
|
마늘 |
48 |
전남 고흥, 경북 의성 |
13.7 |
339,113 |
46,394 |
|
복숭아 |
23 |
경북 경산 |
9.4 |
201,863 |
19,060 |
|
고추 |
104 |
경남 창원․창녕 |
8.4 |
197,869 |
16,574 |
|
시금치 |
20 |
경북 포항 |
5.2 |
96,160 |
5,000 |
|
오이 |
14 |
경기 안성․평택 |
5.0 |
288,071 |
14,269 |
|
딸기 |
20 |
경기 양주, 경북 고령 |
3.4 |
192,140 |
6,565 |
|
토마토 |
91 |
경남 사천,, 경기 광주 |
1.4 |
432,779 |
6,128 |
|
※ 자료출처 : 농식품부 및 해당 시·군 통계연보(`13년 발행)
식약처와 농식품부(농관원)는 앞으로도 국민이 안심하는 농산물 안전관리를 위해 지자체 등과 협업하여 주요생산지부터 유통단계까지 선제적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 안전한 농산물이 유통 될 수 있도록 사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