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0.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1.7℃
  • 맑음울산 18.7℃
  • 맑음광주 22.0℃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9.8℃
  • 구름조금제주 18.4℃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4℃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ㆍ건강식품ㆍ화장품

탄수화물 중독 식습관을 바꾸는 발효현미 '하이생' 화제

탄수화물에 중독된 식습관 개선을 도와주는 현미효소, 쌀눈, 섬유소 풍부

현미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함유한 발효현미효소식품 하이생이 TV 예능 프로그램에 소개된 후 화제다.

바쁜 현대인의 고질적인 문제로 손꼽히는 영향 불균형. 특히 밥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식탁에서는 탄수화물 섭취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며 탄수화물 중독에 걸리기 쉽다. 우리나라 성인의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은 61.4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 섭취량 50g을 훌쩍 넘는다. 탄수화물의 중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미, 잡곡, 통밀 등 당 지수(GI)가 낮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채소, 해조류 등 섬유질이 많은 식품을 많이 먹으면 체내에 있는 당분을 흡수해서 배출하는데 효과적이다.

발효현미 효소식품 하이생은 이러한 탄수화물에 집중된 식습관을 개선하는데 추천되는 식품이다. 현미 영양분의 95%가 존재해, 현미 속 보물이라 불리는 미강을 현미와 함께 발효시킨 것이 특징이다. 현미와 미강을 6:4의 비율로 혼합, 유산균과 황국균으로 복합 발효시켜 현미 영양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였다.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현미의 영양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어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에서 비롯되는 영향불균형을 개선하고, 비타민 B, 스피루리나, 섬유소 등을 함유해 건강한 배변활동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SBS <자기야-백년손님>의 인기 출연자 의사 남재현이 탄수화물에 중독된 후포리 장모 권남섭 여사에게 추천하며 더욱 그 효능을 인정 받아 주목을 받고 있다. 평소 의사 남재현은 탄수화물 중독에 걸린 장모의 건강을 염려 했었다. 21일 방영된 방송 분에서는 손수 장모에게 하이생을 선물하며, 직접 그 효능을 추천했다. 평상시 식단에 대해 조언하는 사위의 말을 잔소리로 여겼던 장모도 바로 하이생을 먹어보며, ‘의사 사위 덕분에 50년은 더 살겠다’며 흐뭇한 미소를 보였다.

하이생 마케팅 담당자 김대근 과장은 “하이생은 완전식품 현미를 주원료로 한 프리미엄 발효현미 효소식품으로 무엇보다 아밀라아제, 프로타제, 리파아제와 같은 효소함유량이 우수하다”며, “영양분의 체내 흡수율은 높이고 노폐물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줘, 탄수화물에 중독된 많은 분들이 하이생과 함께 더 건강한 식단을 만들어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