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한국화이자제약 ‘젤잔즈’... 소아 특발성 관절염(JIA) 급여 적용

건선성 관절염에 해당하고 1종 이상의 생물학적 제제에 불충분 반응 또는 부작용 등으로 치료 중단한 환자에서 젤잔즈®정 5mg 및 젤잔즈®시럽 1mg/mL 급여 적용
-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를 위한 국내 최초의 경구용 JAK 억제제 , , , , , 로 소아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향상 기대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3월 25일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국제류마티스학회(ILAR, International League of Associations for Rheumatology)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소아 특발성 관절염 환자로 다관절형 관절염(2-17세), 확장성 소수 관절염(2-17세), 또는 건선성 관절염(2-17세)에 해당하고 1종 이상의 생물학적 제제에 불충분 반응 또는 부작용 등으로 치료 중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자사의 경구용 JAK 억제제 ‘젤잔즈®정 5mg (성분명: tofacitinib citrate)’ 및 ‘젤잔즈®시럽 1mg/mL'이 4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받게 됐다1고 7일 밝혔다. 

젤잔즈®는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를 위한 최초의 경구용 JAK(Janus Kinase) 억제제로2,3,4,5,6,7, 국내에서는 2014년에 처음 도입됐다.4 작년 류마티스관절염 국내 허가 10주년4을 맞은 젤잔즈®는 2023년 12월 성인 중증의 활동성 강직척추염 에 이어 이번 다발성 소아 특발성 관절염 치료제로 건강보험 급여가 확대1됨에 따라 환자 접근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고시에 따라 젤잔즈®는 국제류마티스학회(ILAR) 진단기준(2001년 제정)에 부합하는 소아 특발성 관절염 환자, 1) 5개 이상의 부종관절이 있는 다관절형 관절염 환자 (2-17세), 2) 확장성 소수 관절염 환자(2-17세), 또는 3) 건선성 관절염 (2-17세) 환자의 경우 이전 1종 이상의 생물학적 제제에 반응이 불충분 반응 또는 부작용 등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의 경우 급여 처방이 가능해진다.

소아 특발성 관절염은 16세 이하의 소아에서 6주 이상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관절염이다.  국제류마티스학회(ILAR)는 소아 특발성 관절염을 7개 범주로 세분화하고 있다.  그중 5개 이상의 관절에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다관절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pcJIA, Active Polyarticular Course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로 분류한다.  젤잔즈®는 지난 2023년 1월 이러한 다관절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 및 소아 건선성 관절염에도 적응증을 획득 하며 소아 환자에게도 사용된 바 있다. 2023년 3월에는 소아용 시럽 제형까지 제품군을 늘려 환자들의 선택지를 더 넓혔다. 

젤잔즈®는 이미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3상 임상시험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다. 만 2세 이상 만 18세 미만 소아 특발성 관절염 환자 225명(JIA 184명 포함)을 대상으로 이중맹검, 위약대조, 투여중단 3상 임상시험에서 18주간 젤잔즈® 투여 후 위약 투여군과 44주 차까지 비교 추적 관찰한 결과, 치료 44주차 젤잔즈® 투여군의 질환 악화(flare rate)가 29%로 나타나 위약군(53%) 대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p=0·0031) 확인됐다. 

또한 젤잔즈® 투여군은 위약군보다 질병 발생까지의 소요시간은 유의하게 길었다 (median 155 vs. n/a+;log-rank p=0.0037). 소아 및 청소년 다발성 JIA 및 건선성 관절염 환자에서 젤잔즈® 치료군과 위약군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전반적으로 유사했으며, 새로운 잠재적 안전성 위험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에서의 젤잔즈®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 

한국화이자제약 스트레터직 얼라이언스 포트폴리오(Strategic Alliance Portfolio) 사업부 강민희 전무는 “다발성 소아 특발성 관절염은 장기적인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기 단계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적극적 치료가 중요한 질환 인 만큼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소아 환자들에게 젤잔즈®에 대한 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젤잔즈®가 소아 환자들에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