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0.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1.7℃
  • 맑음울산 18.7℃
  • 맑음광주 22.0℃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9.8℃
  • 구름조금제주 18.4℃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4℃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제3차 동아시아 피부과 학술대회, 제주도 개최

중국•일본 피부과 학회와 공동 9월 24일부터 3일간

대한 피부과 학회(회장 은희철)는 중국•일본 피부과 학회와 공동으로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제주 ICC(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 3차 동아시아 피부과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동아시아 피부과 학술대회(Eastern Asia Dermatology Congress, 이하 EADC)는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지역 피부과 전문의들이 피부질환의 연구와 치료에 대한 지식을 증대하고 의학자와 관련 연구기관의 학문적 또는 인적 교류를 촉진시켜 피부의학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한 국제학술대회이다.

EADC는 한일, 중일, 한중이 각각 별도로 개최하던 피부과 학술대회를 2010년 일본에서 최초로 삼 개국이 함께 통합 개최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1979년 10월에 서울에서 개최한 한일 피부과 학술대회가 그 효시로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최근 2012년에 중국에서 개최된 제 2차 EADC 대회 또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EADC2014는 기존 대회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세션을 마련하고 학술 프로그램 완성도를 높이며 참가자들과 좀 더 원활히 소통하는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이에 미국, 캐나다, 인도 등지에서 온 초청 연자들의 Plenary Lecture를 필두로 피부과 분야의 다양한 토픽으로 이루어진 Invited lecture, Workshop, Course 등의 33개 초청 세션과 12개 자유연제 세션으로 진행된다. 뿐만 아니라 최신 정보 교류를 위해 제약, 화장품, 의료기기 등 관련 업체의 전시회가 열릴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현재까지 20 개국에서 1,000 명 이상의 참가자가 등록하였으며 859 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은희철 대회장은 EADC가 이번 제주 대회를 기점으로 동아시아 피부과의 네트워크를 한층 강화하고 나아가 인류의 피부건강과 아름다움에 기여하는 아시아 최고 권위의 학술모임으로 발전할 것이며, 이를 위해 국내외 피부과 의사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