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2 (토)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16.0℃
  • 맑음서울 8.9℃
  • 맑음대전 9.6℃
  • 맑음대구 16.1℃
  • 맑음울산 13.9℃
  • 맑음광주 10.2℃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7.7℃
  • 맑음제주 16.4℃
  • 맑음강화 7.7℃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8.6℃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폐암 4기 투병중인 민하엄마 "소연씨의 버킷리스트를 후원해 주세요"

네 살배기 민하의 소원은 엄마와 함께 놀이공원에 나들이 가는 것이다. 엄마 박소연(30세) 씨는 9년째 폐암 4기 투병 중이다. 당연히 놀이공원은커녕 동네 놀이터에서 놀아주는 것만도 벅차다.

그런 소연 씨가 폐암치료제 '잴코리'를 복용한지 3일 후부터 딸과 놀아주는 것이 가능해졌다. 엄마가 곁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민하는 더욱 신이 난다. 그러나 그런 딸을 보며 엄마는 한숨만 쉰다. ‘잴코리’ 한 알에 16만 7천 5백원, 한 달 약값만 천만원이 넘기 때문이다.

약값을 높게 받으려는 제약사와 약값을 낮게 깎으려는 정부간의 줄다리기 때문에 건강보험 등재는 두 번이나 실패했고 그동안 2년 9개월이란 세월이 흘렀다. “잴코리”라는 신약이 개발되었지만 수백명의 폐암환자들은 한달에 천만원이 넘는 엄청난 비급여 약값을 감담 못해 죽어가야만 했다.

 ‘잴코리’의 세 번째 건강보험 등재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내년 4월~7월에 건강보험이 적용될 예정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기간 중에 “돈이 없어서 죽는 대한민국 국민은 한명도 없게 만들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에 내년에는 반드시 건강보험 적용이 될 것으로 믿고 있다. 문제는 소연씨의 경우에는 그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싱글맘에 수입이 없는 소연 씨는 복지단체의 후원금도 받고 라디오방송에도 출연해 보았지만 그마저도 바닥이 난 상태다. 당장 이번 달 약값부터 걱정이다.

소연씨는 딸 민하와 앞으로 함께 하고 싶은 10가지 버킷리스트가 있다고 했다. 그녀의 첫 번째 버킷리스트는 “폐암치료제 약값 걱정안 하기”이고 열번째 버킷리스트는 "딸 민하 결혼식장에서 손잡고 행진하기"이다. 그녀는 아빠가 없는 민하가 결혼을 하게 되면 자신이 엄마 역할도, 아빠 역할도 모두 해주고 싶다고 했다. 식장에 아빠 손잡고 들어가는 것을 엄마인 자신이 해도 괜찮을 것 같다고 말했다.

▸ 민하엄마 소연씨의 버킷리스트
01. 폐암치료제 약값 걱정 안하기
02. 딸 민하랑 같이 비행기 타고 여행가기
03. 딸 민하랑 같이 공연 보러 가기
04. 딸 민하에게 자전거 가르쳐 주기
05. 딸 민하와 함께 수영하기
06. 딸 민하 생일파티 해주기
07. 딸 민하와 젓가락 행진곡 연주하기
08. 해돋이 보러 가기
09. 봉사활동 하기
10. 딸 민하 결혼식장에서 손잡고 행진하기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박소연 씨가 딸 민하와 함께 하고 싶다고 말한 10가지 버킷리스트가 이루어지도록 돕기 위해 "민하엄마 소연씨의 버킷리스트" 홈페이지(http://xalkori.tistory.com)를 만들었고 오늘부터 약값 모금운동도 함께 전개하기로 했다.

참여방법은 ⑴소연 씨의 폐암치료제 "잴코리" 하루 약값 167,500원를 후원하거나 ⑵열명이 십시일반 16,750원을 함께 후원하거나 ⑶금액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후원하는 3가지이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신한은행 100-27-007159(예금주:한국환자단체연합회)로 후원하면 된다.

▸ 후원 참여방법
1. 소연씨 폐암치료제 "잴코리" 하루 약값 167,500원 후원하기
2. 둘, 십시일반 16,750원 후원하기
    (열명의 마음이 모이면 소연 씨 하루 약값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3. 민하 엄마 소연 씨의 버킷리스트가 이루어지도록 자유롭게 후원하기

▸ 후원계좌 - 신한은행 100-027-007159(예금주: 한국환자단체연합회)

▸ 유튜브 영상
- 민하엄마 소연씨 이야기
- http://www.youtube.com/watch?v=HdktIixE9gw

소연씨와 그녀의 딸 민하가 10가지 버킷리스트를 하나하나 이루어가는 동안 페암치료제 ‘잴코리’의 건강보험 적용도 함께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2014년 10월 2일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신장암환우회, 한국GIST환우회, 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 한국다발성골수종환우회,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암시민연대)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민연금법 국회 본회의 통과...모수개혁 일환,지급보장 명문화 및 출산.군복무 크레딧 확대 담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 경기 부천시갑 ) 이 대표발의한 「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 」 ( 이하 개정안 ) 이 위원회 대안으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이번에 마련된 대안은 그동안 논의되어 온 국민연금 모수개혁의 산물로서 , 2007 년 이후 18 년 만이자 국민연금제도 도입 후 세 번째 개혁이다 . 이번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개정안은 현행 9% 인 보험료율을 2026 년부터 8 년간 매년 0.5% 씩 올려 13% 로 인상하는 것과 기존 40% 인 소득대체율을 2026 년부터 43% 로 인상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 여기에 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국가의 국민연금 지급 보장을 명문화하고 필요한 시책을 수립하도록 하는 내용이 추가됐다 . 또한 , 제 21 대 연금개혁 공론화위원회의 안보다 소득대체율이 낮아진 것을 보완하기 위해 출산ㆍ군 복무 크레딧 , 저소득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지원 확대 방안도 이번 모수개혁에 포함되었다 . 구체적으로는 출산 크레딧의 경우 첫째아와 둘째아는 12 개월씩 , 셋째아 이상은 18 개월을 추가 가입기간으로 산입하도록 하고 50 개월 상한을 폐지하는 내용 ( 현행 둘째 12 개월 , 셋째부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박민수차관 "예측가능한 약가제도 개선 ” 노력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21일 보건복지부 박민수 차관을 초청한 가운데 2025년 제약바이오 CEO 조찬 간담회를 갖고, 산업 발전과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열린 간담회에는 윤웅섭 이사장(일동제약 부회장)을 비롯한 제약바이오기업 CEO 70여명이 참석, 1시간여 동안 2025년 복지부의 주요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현안 관련 활발한 문답을 주고 받았다. 노연홍 회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투자 분위기 침체 등으로 산업계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업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보건산업 진흥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와 건강보험 관리라는 두 가지 목표의 균형을 잡아나간다면, 산업계가 미래를 향한 과감한 도전으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늘 간담회는 정부와 산업계가 제약바이오사업 도약이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밑거름을 마련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박민수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보건복지부의 사명은 국민의 건강과 편안한 삶을 위해 보험과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베트남 ‘H+하노이’, ‘메디컬코리아 2025’ 한국 종합병원 최초 참가..기대 되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병원장 김상일) 이 지난해 12월 베트남 하노에 설립한 ‘H+인터내셔널 메디컬센터 헬스케어&폴리클리닉 (H+하노이)’이 20일 코엑스에서 열린 ‘메디컬 코리아2025’에 참가했다. 베트남 하노이 서호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오피스몰(7-8층) 에 위치한 ‘H+하노이’ 는 연면적 1,000평 규모로 한국 종합병원 최초로 해외에 단독 진출한 첫 번째 사례이다. 23일까지 펼쳐지는 행사에서 ‘H+하노이’는 해외환자 신규 유치 채널 발굴을 위한 해외 바이어와의 1:1 비즈니스 미팅을 전개하며, 한국 전문의를 보유한 의료 역량, 종합병원 급의 최첨단 의료장비 구축 현황, 원격상담서비스 등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한편 부스 이벤트로 방문객에게 베트남 전통 특산물 ‘끼에우락(땅콩캔디)’ 과 베트남 커피도 증정했다. H+하노이는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의 첫 해외 지점으로 건강검진센터와 12개 진료과로 구성된 폴리클리닉을 운영하며 국제다학제진료 도입, 한-베 원격상담시스템을 기반으로 AI기반 디지털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H+ 하노이’는 첨단 의료장비와 한국식 정밀 진료시스템을 갖춰 현지 의학계와 한국 교민들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