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국민연금 기금운용인력 1인당 운용금액 2조 1,500억원, 세계 6대 연기금 중 3번째

1인당 운용규모’라는 단순 비교로 운용인력 많고 적음 판단 불가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이 2014년 국민연금공단(이하 국민연금) 국정감사를 위해 확인한 결과, 국민연금 기금운용인력의 1인당 투자자금 규모는 세계 6대연기금(GPIF(일본), GPF(노르웨이), ABP(네덜란드), 국민연금, CalPERS(미국), CPPIB(캐나다))중에 3번째로 수준으로 나타났다.[표1]

국민연금은 2013년말 총 426조원의 자산을 198명의 운용인력이 운용하며, 운용인력 1인당 평균 운용자금은 2조 1,500억 원이었다. 운용인력 1인당 운용자금이 가장 많은 곳은 GPIF(일본)로 총 1,292조원의 자산을 78명이 운용하며, 운용인력 1인당 평균 운용자금은 16조 6천억 원이다. 운용인력 1인당 운용자금이 가장 적은 곳은 CPPIB(캐)로 총 212조원의 자산을 운용인력 1,000명이 운용하며, 운용인력 1인당 평균 운용자금은 2,100억 원 수준이다.[표1]


문정림 의원은 “그 동안 국민연금은 국민연금의 기금운용인력 1인당 기금운용 규모가 국내외 연기금 대비 과도한 수준이라고 밝혀 왔다. 하지만, 규모(200조 이상)와 성격(공적 연기금)면에서 직접적인 비교 대상이 되는 세계 6대 연기금과 비교했을 경우, 국민연금의 1인당 운용자금은 중간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한 통상, 채권보다 주식이, 주식보다는 대체투자가 인력이 더 필요하며, 간접보다 직접 운용이 더 많은 운용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GPF(노르웨이)는 상대적으로 운용인력이 많이 필요한 주식과 대체투자 비율이 국민연금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1인당 운용자산은 2.37조원으로 국민연금(2.15조원)보다 더 많다.”고 말했다.[표1, 그림1]

문정림 의원은, “1인당 적정 운용자금의 규모는 자산 유형과 투자비중, 운용형태, 투자전략, 투자환경 등에 따라 상이하여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다만, 단순히 1인당 운용자금의 규모로 운용인력의 많고, 적음을 판단할 경우, 자칫 기금운용 인력자원 배분에 실수를 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정림 의원은, “국민연금은 1인당 기금운용 규모를 획기적으로 축소하는 것을 목표로, 3년 내에 현 수준의 2배 이상의 기금운용 인력 증원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국민연금의 운용인력 증원이 단순히 기금 규모의 증가추이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지양하고, 자산배분(주식, 채권, 대체투자)과 운용방식(직접/간접) 등 기금운용의 전략적 측면을 기본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표1. 세계 6대연기금 자산구성 및 운용인력 현황>

 

자산규모

자산구성

운용인력

1인당

운용규모

채권

주식

대체

국민연금

426조원

61%

30%

9%

198명

2.15조원

GPIF(일본)

1,292조원

68%

32%

0%

78명

16.6조원

GPF(노르웨이)

876조원

37%

62%

1%

370명

2.37조원

ABP(네덜란드)

431조원

39%

35%

25%

563명

0.76조원

CalPERS(미국)

311조원

22%

55%

23%

341명

0.91조원

CPPIB(캐나다)

212조원

33%

50%

17%

1,000명

0.21조원

* 자료는 2013년말 기준(단, CalPERS(미국)는 2013년 6월말 기준)

자료: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연구원이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문정림의원실에서 정리




<그림1. 세계 6대연기금 자산구성 현황>

* 자료는 2013년말 기준

자료: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문정림의원실에서 정리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