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중장기 혈액사업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헌혈환급적립금 약 5억원 집행

문정림의원,경험 없는 민칸컨설팅 업체에, 계획수립에만 약 5억 원 집행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비례대표)은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2014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 8월 기준 우적된 헌혈환급적립금은 약 205억 원에 이르고, 2013년 11월 이후 1년간 23억 6,000만 원의 기금을 사용했으며, 이 중「중장기 혈액사업 발전계획 수립」연구용역에 약 5억 원 가량을 집행한 것으로 확인됐다[표1].

최근 헌혈환급적립금 사용 연구과제

연구과제목적연구기간소요예산
희귀혈액 공급을 위한 헌혈자 관리 체계 구축ABO, RhD 혈액형 이외의 적혈구 항원을 대량 검사하여 혈액형 항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희귀혈액이 필요한 환자가 발생했을 때 충분한 양의 혈액을 적시에 공급, 의료의 질을 제고 5
(2013.11.1 시작)
259백만원
(1차년도)
혈소판 수혈 불응증 환자를 위한 HLA HPA적합 헌혈자 관리체계 구축혈소판성분헌혈이 가능한 헌혈자를 대상으로 HLA- HPA- 적합 헌혈자 registry를 구축하여, HLA- 또는 HPA- 적합 혈소판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합한 혈소판제제를 적시에 수혈 3
(2013.11.1 시작)
441백만원
중장기 혈액사업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혈액사업관련 국내외 환경분석 및 선진화 방안모색 및 혈액수급안정, 혈액안전성강화, 혈액수가체계 타당성 검토 및 개선방안 등을 모색1
(‘14.7.1
~
‘15.6.30)
462백만원
재해복구(DR)센터 내 혈액정보시스템 교체재해나 중대한 장애 발생시 혈액관리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해복구센터의 장비 보완 및 교체 사업‘14.4.25-
’14.6.23
1,200백만원

<자료> 문정림 의원실이 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보건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는 저출산·고령화, 중증환자 증가 등 미래 헌혈 및 수급상황과 백혈구제거제제 등 특수혈액제제 증가 등으로 인한 혈액 사업 환경에 대한 능동적 대처하고, 헌혈자·수혈자를 위한 인적·물적 인프라 등의 선진적 혈액관리체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6월 민간업체를 선정하여 지난 7월부터 1년 간「중장기 혈액사업 발전계획 수립」연구용역 수행 중에 있다. 또한 지난해 10월 30일 ‘혈액관리위원회’에서는 헌혈환급적립금(5억 원)을 활용하여 외부전문기관에 의한 컨설팅 용역 시행할 것을 의결한바 있다.

문정림 의원은 “혈액사업에 대한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은 민간컨설팅기관에서「중장기 혈액사업 발전계획」을 수립하도록 한 점과 계획 수립에만 5억 원에 가까운 비용을 사용한 점 등이 적절했는지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문 의원은 “적지 않은 비용(약 5억원)을 들여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한 만큼 ① 중장기 혈액수급 안정화 방안, ② 중장기 혈액안전성 강화 방안, ③ 중장기 혈액수가관리체계 개선방안, ④ 중장기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등에 대해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연구결과가 혈액정책?사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확인?검토를 하라”고 보건복지부와 적십자사에 주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