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흡연 학생, 거식증 위험 높아 ....'흡연이 체중조절 도움 된다’는 잘못된 인식 강해

흡연 여학생, ‘식사 후 구토’ 등 극단적 다이어트 경험 높아 청소년 문제행동 예방 건강증진프로그램 강화해야

담배 피우는 학생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학생보다 거식증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으로 살을 빼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주의가 필요하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조영규 교수(사진)팀이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청소년(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참여자) 31,090명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건강하지 않은 다이어트 방법을 '극단적인 방법'과 '덜 극단적인 방법' 두 가지로 분류해 조사했다.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은 ▲살 빼는 약 복용 ▲설사약·이뇨제 복용 ▲식사 후 구토이며 덜 극단적인 방법은 ▲원 푸드 다이어트 ▲단식 ▲다이어트 식품 섭취 ▲한약 복용이다.(복수응답)


조사결과 흡연 학생이 비흡연 학생보다 잘못된 다이어트 방법을 시도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학생 중 흡연 학생은 남학생의 경우 13.3%, 여학생의 경우 3.8%로 조사됐다.


특히 흡연 여학생의 경우 건강에 해로운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15.1%가 사용했다. 이는 비흡연 여학생(5.2%)보다 2배 이상 높은 결과다.


식사 후 구토를 통해 다이어트 경험을 한 흡연 여학생이 7.9%로 비흡연 학생(2.4%)보다 5.5% 포인트 높았고, 처방 약을 복용한 경우 3.6%(비흡연자 1.3%), 처방받지 않은 약 복용 5.8%(비흡연자 1.9%), 이뇨제·설사약 복용 5.6%(비흡연자 1.9%)로 모든 항목에서 흡연 여학생이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더 많이 선택했다.


덜 극단적인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한 경우도 흡연 여학생이 38.2%로 비흡연 여학생(22.6%)보다 약 1.5배 높았다.


원 푸드 다이어트도 흡연 여학생 14.7%(비흡연자 7.9%), 단식 22.0%(비흡연자 8.8%), 다이어트 식품 18.1%(비흡연자 11%), 한약 5.3%(비흡연자 3.4%)로 조사돼 역시 흡연 여학생이 더 많이 선택했다.


반면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인 운동으로 체중조절을 시도한 여학생은 비흡연자가 70.4%로 흡연자 65.6%보다 더 많았다.


남학생의 경우에도 흡연 학생이 비흡연 학생보다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은 약 1.5배, 덜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은 약 1.2배 더 많이 시도했다.


청소년기에는 음주, 흡연, 약물 사용, 폭력 등과 같은 문제행동이 군집해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건강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는 극단적인 다이어트 시도 또한 자극을 추구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의 청소년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중 하나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조영규 서울백병원 교수는 "흡연이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담배를 피우는 경우가 있다"며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지속할 경우 거식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어 건강위험행동이 습관화되기 이전에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영규 교수는 또 "청소년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금연 교육과 비만 예방 등 각 위험행동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것보다 다양한 문제행동이 한 학생에게 군집되어 나타나는 공통적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 영문학회지 KJFM 최근호에 실렸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금연보조제 구매 시,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의약품·의약외품 표시 확인 후 구입해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5월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계기로 금연을 계획하고 있는 흡연자들을 위해 금연보조제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한다고 밝혔다. 금연보조제는 금연을 보조할 수 있는 금연보조 의약외품(흡연욕구저하제품, 흡연습관개선제품)과 의약품 등으로 분류되며 각 제품의 종류별 특성, 올바른 사용법 및 주의사항 등은 다음과 같다 금연보조 의약외품은 니코틴이 함유되지 않은 것(연초[잎담배] 함유 제품 제외)으로, 담배의 흡연욕구를 저하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흡연욕구저하제’와 담배와 유사한 형태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 습관 개선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흡연습관개선보조제’로 구분된다. 금연보조 의약품은 체내 니코틴 농도가 낮아지면서 나타나는 흡연욕구와 갈망, 불안·초조, 우울 등 니코틴 금단증상을 완화하여 금연에 도움을 준다. 담배를 대신해 니코틴을 공급하여 흡연 욕구와 금단증상을 줄일 수 있는 일반의약품(주성분: 니코틴)과 니코틴 의존성을 완화해 흡연량을 감소시키는 전문의약품(주성분: 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으로 구분된다. 의약외품 금연보조제는 흡연욕구를 참기 힘들거나 흡연습관 개선이 필요할 때 불을 붙이지 않고 담배 피우듯이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